![]() |
대학시절 그녀를 설명해 주는 것은 뛰어난 스펙이었다. 전체 수석과 장학생, 기업면접에서 ‘나를 뛰어넘는 점수’ 라는 타이틀로 주목을 받았다. 각종 공모전, 정부초청 대학생 대표 등 대외적 스펙 또한 주목할 만 했다.
그러나 휴학을 하고 경험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것은 스펙이 아니라 변화하는 세상의 흐름을 따라갈 수 있는 진짜 실력이었다. 무언가 잘못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반대로 걸어가자고 생각했다.
비싼 등록금으로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졸업장을 따는데 투자하기 보다, 모두가 함께 나갈 수 있는 길을 만들고 싶었다. 졸업을 눈앞에 두었던 그녀가 과감히 학교를 자퇴하고, ‘저잣거리 교육자’ 의 길을 걷기로 결심한 이유다.
▶비전공자, 자퇴생이 어떻게 미래대안교육을 이끌어요?
▶비전공자, 자퇴생이 어떻게 미래대안교육을 이끌어요?
인재양성 교육전문가로 살아오면서, ‘자퇴생이 어떻게 미래대안교육을 이끄냐’ 는 의문스런 시선을 많이 받았다. 눈에 보이는 자격을 중요시 하는 한국 사회에서 곱지 않은 시선을 받는 것은 당연했다. 하지만 저잣거리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묵묵히 길을 만들어 간다면 그것이 곧 전공이 된다고 믿었다.
사람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겼던 ‘마음치유’ 는 실제로 많은 사람들을 변화시켰다. 자신의 아픈 가정사를 털어 놓으며 귀 기울이는 그녀에게 마음을 연 사람들은 저마다의 트라우마를 꺼내놓으며 변화하기 시작했다.
심리치료 기관에서도 치료되지 않던 친구들이 그녀를 통해 치유되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전문가가 내려주는 ‘답’ 이 아니라 이야기를 들어 줄 ‘친구’였기 때문이다. 마음이 변화한 사람들에게는 인문학을 통해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그렇게 걸어 온지 4년. 4,500여명의 학생들이 그녀를 거쳐갔고, 지금은 전공자가 윤대표를 찾아 올 만큼 최고의 인재양성교육전문가로 거듭났다.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도전, "세바시"
지난 달 진행된 윤소정 대표의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이하 세바시) 녹화장에는 그녀를 보러 온 학생들로 붐볐다고 한다. 이 강연에서 그녀는 자신의 가정사를 세상에 공개했다.
그녀만의 삶이 아닌, 가족의 삶이기에 자신을 찾아 온 학생들에게만 공개해왔던 이야기였지만, 더 큰 뜻을 품고 나아가기 위함이었다. 두려움을 깨고 나온 그녀의 진심 어린 이야기에 강연장의 많은 사람들이 함께 울고 웃었다고 한다.
그 이야기가 담긴 동영상을 소개한다.
<자료, 이미지제공=인큐베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