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한 달 앞두고  럼피스킨·아프리카돼지열병이 잇따라 발병해 행정안전부가 가축 전염병 긴급 대책 회의를 개회했다. 사진은 13일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경기도 안성시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외부인을 통제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추석을 한 달 앞두고 럼피스킨·아프리카돼지열병이 잇따라 발병해 행정안전부가 가축 전염병 긴급 대책 회의를 개회했다. 사진은 13일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경기도 안성시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외부인을 통제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추석을 한 달여 앞두고 소 가축 전염병인 럼피스킨과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가축 전염병 긴급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13일 뉴시스에 따르면 지난 12일 경기 안성시에서 럼피스킨이 발생했다. 럼피스킨은 모기, 파리, 진드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폐사율이 10%에 육박해 '가축 전염병 예방법'상 1종 전염병으로 분류된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10월 국내 최초 발병 시 전국 소 407만마리를 대상으로 긴급 백신 접종을 완료했고 지난 4월 고위험 40개 시·군에 소 122만마리를 대상으로 추가 백신 접종을 실시했다.


경북 영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사율이 100%인 1종 전염병으로 차단방역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날 가축 전염병 긴급 대책 회의에서는 17개 시·도 및 전문가와 함께 가축 전염병 확산 차단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행안부는 과장급 현장 상황 관리관을 파견해 거점 소독시설 운영 실태와 가축 전염병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럼피스킨 발병 소 6마리에 대한 살처분을 완료하고 인접 10개 시·군 중 2차 백신 미접종 지역을 대상으로 백신 추가 접종에 나설 예정이다.

홍종완 행안부 사회재난실장은 "럼피스킨 원인이 되는 매개곤충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전염병 확산 방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추석을 한 달 앞두고 가축 전염병이 확산될 경우 축산물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정부는 당장 소와 돼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돼지고기 수급 상황의 경우 이달 돼지고기 공급 물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되며 소고기 수급 상황은 올해 1~7월 한우 도축 마릿수가 평년 대비 25.5% 증가하는 등 공급은 충분한 상황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농장의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체의 0.01% 수준으로 살처분이 국내 돼지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며 "소 살처분 규모도 매우 적어(343만마리 중 6마리)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다만 전염병이 추가 확산될 경우 추석 성수기 축산물 물가가 급등할 가능성이 남아 있는 만큼 정부는 전염병 확산 방지에 총력전을 펼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