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최근 딥페이크 영상을 이용한 납치 빙자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발생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미지=이미지투데이
경찰이 최근 딥페이크 영상을 이용한 납치 빙자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발생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미지=이미지투데이

딥페이크 영상을 이용한 납치 빙자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7일 뉴스1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이날 최근 한국을 여행 중인 딸이 납치됐다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전화금융사기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한 외국인은 외국 범죄 조직으로부터 한국을 여행 중인 딸이 방 안에 감금된 채 울면서 살려달라고 하는 영상을 받았다. 범인은 합의금을 요구하며 협박했고 부모는 이 사실을 영사관에 알려 해당 사건이 한국 경찰에 신고됐다.

경찰은 딸의 안전을 확인했고 해당 영상은 딥페이크 방식의 허위 영상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범인이 자녀의 목소리를 AI 기반 '딥보이스' 기술로 복제해 금융 사기를 벌일 수 있다며 딥페이크, 딥보이스 기술을 악용한 보이스피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SNS에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공개 설정으로 게시물을 올리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국내에서도 유사한 사건 발생 가능성이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은 이러한 범죄 대처를 위해선 경찰에 신고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9월까지 납치 빙자 보이스피싱 사건이 총 174건 발생했다며 납치 전화가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찰에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