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대출규제 여파로 아파트 거래 시장이 주춤한 가운데 서울 주택 장기보유자들이 주택 매도에 나섰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6일 직방에 따르면 등기정보광장의 서울 집합건물 매도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10년 초과 주택을 보유한 뒤 매도에 나선 비중은 11월 기준 30.5%로 2021년 9월(30.7%) 이후 가장 컸다.
11월 총 8567명(12월11일 기준)이 서울 집합건물을 매도한 가운데 10년 초과 보유 매도자는 2613명이다.
서울 장기 보유 매도자 비중은 올해 월간 27~28% 비중을 차지하며 큰 등락 없는 모습을 보였지만 스트레스 DSR 2단계가 9월부터 시행됐고 가계대출 강화에 대출규제 등이 전방위적으로 진행돼 매수인의 관망세가 짙어졌다는 분석이다.
올해 상승세를 보였던 서울 아파트값은 4분기 보합세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10년 넘게 주택을 보유한 장기 보유자 입장에선 상황이 더 나빠지기 전 조금이라도 빨리 팔자는 심리가 작용하며 매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세부 보유기간별로는 10년 초과 15년 이하 보유 매도자가 1005명(38%)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2010~2014년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국내 부동산시장이 침체기를 겪었던 와중에 주택을 매수한 이들이다.
현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3.3㎡당 3883만원, 2024년 12월)은 10년 전인 2014년 12월(3883만원당 1457만원)보다 2배 이상 높다. 이어 20년 초과 보유한 매도자가 827명(32%), 15년 초과 20년 이하 보유한 매도자가 781명(30%)이다.
자치구별 10년 초과 장기 보유 매도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송파구(8.1%, 212명) ▲강남구(7.8%, 203명) ▲서초구(6.9%, 180명) ▲노원구(6.8%, 178명) ▲마포구(6.0%, 158명)다.
올해 갈아타기 등으로 거래량이 많은 지역에서 장기 보유자 매도 비중이 높았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가 나란히 상위권을 차지했다. 주춤한 매수세 속에서도 수요가 꾸준한 선호지역인 만큼 장기 보유 매도자들의 차익실현 매물이 출시돼 거래된 것으로 분석된다.
직방 관계자는 "경기 불황 장기화에 최근에는 정국 혼란 등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졌다"며 "혼란스러운 분위기 속 주택 매수심리가 얼어붙어 장단기 보유 관계없이 당분간 거래시장의 위축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