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추락해 사상자가 크게 발생한 가운데, 제주항공의 정비 환경 등이 열억했다고 지적하는 글이 화제다. 사진은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태국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야간 수색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추락해 사상자가 크게 발생한 가운데, 제주항공의 정비 환경 등이 열억했다고 지적하는 글이 화제다. 사진은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태국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야간 수색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181명이 탑승한 제주항공 여객기가 추락해 사상자가 크게 발생한 가운데, 제주항공의 정비 환경 등이 열악했다고 지적하는 글이 재조명되고 있다.

지난 29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제주항공의 정비 환경이 열악했으며 이전부터 기체 결함이 잦았다는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지난 2월 '제주항공 타지 마라'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제주항공에 재직 중이던 작성자 A씨는 "요즘 툭하면 엔진 결함이다. 언제 떨어질지 모른다"며 "사장 하나 잘못 데려와서 정비, 운항, 재무 모두 개판 됐다. 요즘 다들 다른 항공사로 탈출하는 분위기"라고 적었다.

항공 정비사들이 휴식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고 타 항공사 대비 무리한 업무를 담당하는 등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인해 원래 기체 안전이 위태로웠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제주항공 정비사라고 밝힌 B씨는 "정비사들은 야간에 13~14시간 일하며 밥 먹는 시간 20분 남짓을 제외하면 쉬는 시간 자체가 없다"면서 "타 항공사 대비 1.5배 많은 업무량과 휴식 없이 피로에 절어서 대우받지 못하는 사람이 정비하는 비행기를 타는 거다. 언제 큰 사고가 터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최근 비행기 정비 사고가 잇따랐다는 내부 증언도 나왔다. 제주항공 직원 C씨는 블라인드에 "어제랑 오늘 새벽에 걸쳐서 (정비 사고가) 벌써 3건인데 직원분들 고생 많으셨다"면서 "어제 국내선 하나 (정비 사고가) 터져서 종일 연쇄 지연됐다. 다낭, 푸꾸옥 비행기도 램프리턴했다"고 주장했다. 램프리턴은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 다시 터미널이나 주기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뜻한다.


한편 이날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추락사고로 탑승객 181명 중 사망자 179명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