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 전후로 이태원 참사를 비롯해 여러 사안을 놓고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에게 수시로 조언을 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5일 뉴스1에 따르면 '뉴스타파'는 2021년 6월26일부터 2023년 4월까지 명씨와 윤 대통령 부부가 나눈 메시지 280개가 담긴 검찰 수사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기간에는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경선과 대선이 포함됐다.
구체적으로 김 여사는 2022년 11월24일 명씨에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와 관련한 대응 방안을 물었다. 이에 명씨는 "국정조사 위원으로 당내 의사 조율과 전투력, 그리고 언론플레이에 능한 정점식, 배현진, 송언석 같은 사람을 배치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김 여사는 홍준표 당시 예비후보를 비롯해 캠프 참여 인사들에 관해 묻거나 윤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해외 순방 일정 등에 관해서도 자주 의견을 구했다.
이에 앞서 같은 달 4일 명씨는 윤 대통령에게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민주당 공격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김영선이 선제적으로 재난안전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또 2023년 4월에는 김 여사가 '김건희 여사, 명태균과 국사를 논의한다는 소문'이라는 제목의 텍스트를 보내자 명씨는 "아이구 이런 세상에 천벌 받을 사람들이 많네요"라고 답했다.
명씨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기간 자신이 실질적 운영자로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에서 만든 비공표 여론조사 파일을 윤 대통령 부부에게 최소 4차례 보낸 것으로도 확인됐다.
검찰은 이 같은 대화들이 명씨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와 연결된다고 보고 있다. 김영선 전 국회의원 지역사무실 총괄본부장이었던 명씨는 2022년 8월부터 이듬해 11월 사이 국회의원선거(제21대 보궐선거, 제22대 총선) 공천과 관련해 정치자금 8070만원을 기부하고 받은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됐다. 검찰은 명씨가 윤 대통령 부부와의 친분 등을 내세워 김 전 의원으로부터 세비 절반을 주기적으로 받아왔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