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둑기사인 커제 9단이 한국에서 열린 LG배 기왕전 결승 최종국에서 기권 패하자 중국 바둑계가 반발했다. 사진은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결승 3번기 2국에서 맞붙은 변상일 9단(오른쪽), 커제 9단(왼쪽). /사진=뉴시스(한국기원 제공)
중국 바둑기사인 커제 9단이 한국에서 열린 LG배 기왕전 결승 최종국에서 기권 패하자 중국 바둑계가 반발했다. 사진은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결승 3번기 2국에서 맞붙은 변상일 9단(오른쪽), 커제 9단(왼쪽). /사진=뉴시스(한국기원 제공)

중국 바둑기사 커제 9단이 한국에서 열린 LG배 기왕전 결승 최종국에서 기권패한 것에 대해 중국 바둑계가 반발했다.

커제는 지난 23일 열린 한국기원 주최 LG배 기왕전 결승 3국에서 사석(바둑에서 잡은 상대방 돌) 관리 규정을 어겨 심판의 경고를 받았다. 이 규정은 지난해 11월 한국기원이 신설한 것으로 사석은 반드시 사석 통에 넣어야 한다. 바둑판에 놓인 돌만 계산하는 중국 바둑 경기에선 사석 관리에 관한 규정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날 커제는 사석을 탁자 위에 놓았다가 경고를 받았다. 반칙 선언에 불복한 커제가 대국 재개를 거부해 기권패가 결정되자 중국 위기협회(중국바둑협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중국 선수단은 결승 최종국 다음날 열린 시상식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준우승으로 상금 1억원을 받게 된 커제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신 중국으로 돌아간 커제는 자신의 SNS 프로필을 '세계대회 8관왕'에서 '세계대회 9관왕'으로 수정했다. LG배 우승자가 자신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또한 SNS 라이브 방송을 통해 "한국에서 모욕을 당했다"며 "절대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본 중국 현지 누리꾼들 또한 결과를 부정하고 있다. 현지 매체들은 "경기에서 실제로 이기지도 않은 변상일이 우승을 차지했다"며 "한국은 우승을 가져간 대신 체면을 잃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LG배 사태 이후 지난 25일 중국 위기협회는 갑자기 '중국 바둑 리그에 외국인 선수가 참가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지난 시즌에는 한국 선수 20여명이 중국 바둑 리그에 외국인 선수 자격으로 참가했다.

다음달 6일 열릴 예정이던 제1회 쏘팔코사놀 세계최고기사 결정전에 중국 위기협회가 불참한다고 밝히면서 이 대회도 무기한 연기됐다. 이 대회에는 커제를 비롯한 중국 선수 4명이 출전할 예정이었다.

논란이 커지자 한국기원도 설 연휴 이후 사석 관리 규정을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 사석 관리 규정은 국제 대회 때 중국 선수들이 따낸 돌을 이리저리 던져놓아 형세 판단에 혼란을 겪게 만드는 상황을 막기 위해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