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 개념도. /자료제공=경기도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 개념도. /자료제공=경기도

경기도가 부천시 미래와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안)'을 최종 승인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계획안에는 최상위 공간계획으로 지속 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한 정책, 전략을 담고 있다. 2040년 부천시의 목표 계획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치와 3기 신도시, 역세권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유입될 인구를 고려해 현재 80만명보다 9만여명 늘어난 인구수를 설정했다.


부천시 전체 행정구역 53.45㎢ 면적 가운데 장래 도시발전에 대비해 개발 가용지 0.498㎢를 시가화 예정용지로 계획했다. 시가화된 기존 개발지 35.119㎢는 시가화용지, 나머지 17.833㎢는 보전용지로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했다.

부천시 공간구조는 신규 개발사업, GTX·지하철 신규노선에 따른 거점 변화를 고려해 1도심 3부도심 3지역중심으로 세분화했다. 생활권은 대장·춘의, 중·상동, 부천·소사 총 3개 권역으로 나눴다.

대장·춘의권역은 노후 공업지역 정비·역세권 활성화, 중·상동권역은 노후 신도시 정비·문화행정업무 기능 강화, 부천·소사권역은 도시재생활성화·생활기반시설(SOC) 공급을 통한 균형발전 등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교통계획은 단절·병목 없는 최적의 내부 도로망 체계 구축, 광역급행철도(GTX-B·D) 등 철도망 계획, 대중교통 간 연계를 위한 스마트 환승플랫폼 시스템 구축 등을 반영했다.

박현석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도시기본계획 승인에 따라 3기 신도시(대장지구)를 비롯해 영상문화단지, 종합운동장역세권 등 다양한 개발사업, 노후신도시 정비, 원도심 재생활성화를 통해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도시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