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수가 20년 만에 1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중일 영토 갈등이 있었던 센카쿠 열도의 모습./사진=로이터
중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수가 20년 만에 1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중일 영토 갈등이 있었던 센카쿠 열도의 모습./사진=로이터

중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수가 20년 만에 1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5일 신케이신문 등은 일본 외무성이 발표한 '해외 재류 일본인 수 조사 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10월1일 기준으로 중국에서 3개월 이상 체류 중인 일본인이 전년 대비 4.2% 감소한 9만7538명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일본인 장기 체류 국가 순위에서 2003년부터 21년간 2위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은 10만4141명을 기록한 호주에 밀려 3위로 떨어졌다.

중국에 거주하는 장기 체류 일본인은 2000년 이후 일본 기업의 중국 진출과 함께 급증해 2012년에는 15만명을 넘었다. 하지만 2012년 일본 정부가 중국과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한 뒤 중국에서 반일 움직임이 거세지자 중국에 장기 체류하는 일본인 수는 감소세를 이어갔다.

산케이는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에 따른 일부 일본 기업의 판매 부진, 지난해 잇달아 벌어진 일본인 어린이 습격 사건, 중국 당국의 일본인 구속 등이 감소세 지속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NHK도 "주재원 사이에서 안전 등에 대한 불안으로 가족 동반을 주저하는 움직임이 확산한 것이 배경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0월1일 기준으로 한국에 장기 체류하는 일본인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4만3064명이다. 미국에 장기 체류 중인 일본인은 약 41만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