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유·무선통신과 인공지능(AI) 전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2024년 연결 매출 17조9406억원 영업이익 1조8234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해 유영상 CEO가 GPUaaS(GPU-as-a-Service) 준비상황에 대해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유·무선통신과 인공지능(AI) 전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2024년 연결 매출 17조9406억원 영업이익 1조8234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해 유영상 CEO가 GPUaaS(GPU-as-a-Service) 준비상황에 대해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유·무선통신과 인공지능(AI) 전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SK텔레콤은 12일 2024년 연결 매출 17조9406억원 영업이익 1조823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전년 대비 1.9%, 4.0%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1조4388억원을 기록했다.

별도 기준 2024년 연간 매출은 12조7741억원 영업이익 1조5232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1.5%, 4.6% 증가했다. 별도 순이익은 1조3322억원이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3.1%, 13.7% 증가한 4조4111억원, 3517억원을 기록했다.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기업의 거래(B2B) 사업 증가가 주효했다.


SK텔레콤은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을 위해 ▲AI 데이터센터(AI DC)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에지 AI(Edge AI)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글로벌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와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기업 펭귄 솔루션스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으며 지난해 12월 가산 AI 데이터센터를 오픈하고 'SK텔레콤 GPUaaS'를 선보였다.

AI 사업 강화를 위해 AIX·AI DC·에이닷·GPAA 등 7대 사업부로 조직을 재편했다. 2024년 AI 관련 매출은 전년 대비 19% 증가했으며 특히 AIX 사업은 32% 성장하며 AI 클라우드 및 B2B 솔루션 확장에 기여했다. AI DC 매출도 전년 대비 13.1% 증가한 3974억원을 기록했다.

개인 AI 서비스 분야에서는 '에이닷'(A.)과 '에스터'(Aster)를 중심으로 국내와 글로벌 시장을 공략 중이다. 에이닷은 LLM 기반 검색과 AI 전화 기능을 강화하며 2024년 말 기준 가입자 수가 800만명을 돌파(전년 대비 160% 증가)했다.

SK텔레콤은 압도적인 AI 기술/서비스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에 나서고 있으며 이를 통한 AI 사업의 본격 수익화를 실현해 올해부터 '돈 버는 AI'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김양섭 CFO는 "지난해는 SK텔레콤이 통신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한 해였다"며 "올해는 도전과 혁신으로 AI 시대를 개척해 기업 가치를 보다 견고히 하는 한 해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4년 4분기 배당금은 주당 1050원으로 이사회에서 의결됐다. 기 지급된 주당 2490원을 포함해 연간 주당 배당금은 3540원으로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