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광주시는 긴급상황 발생 시 위치정보를 표시해 신속한 안전사고 대응이 가능하도록 국가지점번호판을 일제히 정비한다고 14일 밝혔다.
'국가지점번호판'은 등산 및 야외 활동 중 조난을 당하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인근의 국가지점번호를 확인한 후 소방서나 경찰서에 제공하면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가 가능해 시민 안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현재 시에는 526개의 국가지점번호판이 설치돼 있으며 매년 일제 조사를 통해 망실·훼손된 번호판을 정비하고 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에는 신규 설치를 진행하고 있다.
◇측량기준점 표지 일제 조사
광주시는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역 내 측량기준점(국가기준점 및 공공기준점) 표지에 대한 일제 조사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측량기준점은 국토개발, 지적측량, 지도 제작, 공간정보 구축 등 다양한 사업에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드론, 디지털 트윈 등 공간정보산업의 핵심 기준으로 활용된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전국에 측량기준점을 설치·운용하고 있으며 기준점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해당 지자체가 매년 관할 구역 내 측량기준점 현황을 조사해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