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교육부가 주최한 '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성과보고회'에서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가 경기도교육청의 3개 시범지역이 우수사례로 선정돼 이주호 교육부 장관(오른쪽서 3번째)으로부터 장관상을 수여받고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20일 교육부가 주최한 '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성과보고회'에서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가 경기도교육청의 3개 시범지역이 우수사례로 선정돼 이주호 교육부 장관(오른쪽서 3번째)으로부터 장관상을 수여받고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경기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가 20일 교육부가 주최한 '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성과보고회'에서 경기도교육청의 3개 시범지역이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당초 경기도 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은 모두 7개 지역이 선정된 바 있다.


교육부는 성과보고회에서 2024년 교육발전특구 지역의 운영 성과와 지역 주도의 교육혁신을 가속화 하기 위한 '2025년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추진계획(안)'을 함께 발표했다.

고양시는 '관·산·학·연' 협력과 창업교육을 기반으로 고양시 디지털 영상·문화 분야 등 미래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고양시만의 교육 시스템을 개발·운영해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현재 고양디지털영상캠퍼스는 △경기도교육청미디어교육센터 △경기영상과학고 등 6개의 창업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파주시는 도교육청과 지자체가 협업한 파주형 학생 전용 통학순환버스 '파프리카(Far·Free·Car)' 시스템을 구축해 학생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학 기반 마련에 힘쓴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양주시는 생애 초기 출발선의 평등한 실현을 위해 양주형 유보통합 혁신모델을 구축하고, 전국 최초로 유보통합 일원화 비용지원구조를 개발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주형 유보통합 이용권(바우처) 사업을 추진해 수요자 중심의 비용 체계로 전환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우수사례로 선정된 3개 지역 외에 나머지 4개 지역( (김포, 포천, 동두천, 연천)도 특색있는 교육혁신 모델 개발에 주력해 경기미래교육의 우수사례로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고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