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청사 전경. /사진제공=성남시
성남시청사 전경. /사진제공=성남시

성남시가 과학고 설립 예산 관련 정치권 일각의 주장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며 법적 대응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성남시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과학고 설립 예산 100%(총 1300억원 소요)를 시가 지원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경기도교육청과 함께 분담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분명히 했다.

성남시는 경기형과학고로 유치하면서 '가칭 분당중앙과학고'는 과학고 신설이 아닌, 전환을 택해 경기도교육청이 기존 학교시설과 토지, 학교운영비 등을 제공하고 시가 추가시설과 기자재, 기타 운영비 등의 예산을 지원하며 타당성 용역을 통해 사업비를 절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기존 분당중앙고 부지비는 2024년 공시지가로 약 528억원이다.

이와 유사한 부지에 이천시, 시흥시처럼 신설 방식으로 과학고를 설립했다면, 부지에만 500억원이 넘게 들고, 건축비도 추가로 더 소요되었을 것이나, 경기도교육청 소유의 부지와 건물을 활용하여 예산을 절감한 셈이다. 또한 학교 뒤편 연접 시유지를 활용하여, 약 104억원 상당의 추가부지에 대한 예산도 절감했다는 것이 시의 주장이다.

이로써 성남시가 과학고 설립에 지원하는 총예산은 학교 리모델링비 (본관, 체육관) 및 증축 공사비(탐구관, 기숙사), 기자재 구입비 등으로 약 755억원 (예비비, 운영비 별도)으로 김병욱 전 국회의원 등이 주장한 1300억원 이상과는 차이가 크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일부 정치권에서 국가 이공계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고 설립에 동의한다면서도 시민 혈세 100% 부담이라는 허위정보를 퍼트려 국가교육과 시정을 흠집내는 활동은 중단되었으면 한다"며 "허위 정보 유포가 지속될 경우 법적대응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