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5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산불예방 대도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전남도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5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산불예방 대도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전남도

김영록 전남지사가 25일 "푸른 전남을 지키고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영농폐기물·논밭두렁 태우기 금지 등 산불예방 수칙을 지켜줄 것"을 호소했다.

김 지사는 이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발표한 대도민 호소문에서 "수십 건의 산불로 경남 산청 등에서 4명이 희생되고 1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며 "전국적으로 1만4600㏊, 축구장 2만 개에 달하는 숲이 사라졌고 전남에서도 2년 전 순천, 함평 산불로 870㏊의 숲을 잃은 아픔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지난 22일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된 점을 강조한 뒤 △산림 또는 인접지에서 논·밭두렁과 쓰레기 소각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흡연이나 인화물질 소지 △입산통제 구역이나 폐쇄된 등산로에 출입하는 행위 등을 금지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산에서 연기나 불을 발견하면 119, 112, 관할 산림부서에 신속히 신고하고 산불과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동시에 산행 중 산불 발생 땐 골짜기를 피해 바람 반대 방향으로 즉시 하산할 것을 당부했다.

올 들어 전남에선 24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대부분 불법 소각, 성묘객 실화 등 사소한 부주의가 원인이어서 산불예방을 위한 도민 협조가 절실한 실정이다.


전남도는 봄축제와 한식, 청명을 맞아 입산과 성묘객이 늘 것으로 보고 시·군과 합동으로 주말 기동단속반을 운영하고 '전남산애(山愛) 감시원' 696명과 야간 신속대응반 28개조, 179명을 편성해 밤 10시까지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산림 인접지역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산불 진화헬기 13대, 진화인력 1180명, 진화장비 5만4000점, 드론 38대, 감시 영상시스템 운영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고 소방·경찰・군인 등 유관 기관과 긴밀한 공조 체제도 구축했다.

김 지사는 "작은 관심 하나가 전남의 산림을 지키고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첫걸음"이라며 동참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