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이하 피케이밸브)의 최대주주인 STX가 전영찬 전 피케이밸브의 해임은 이사회 결의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고 성공적으로 기업공개(IPO)를 마치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STX는 경영상의 중대한 사안이 확인돼 전 대표를 해임했다고 26일 밝혔다. 정관 위반 및 절차적 문제와 IPO 준비 과정에서의 신뢰 저하, 미비한 IPO 추진 의지 등을 이유로 꼽았다.
피케이밸브 정관에 따르면 이사회 회의 소집은 최소 3일 전까지 통지해야 하고, 정기 주주총회는 3월 말까지 열려야 한다. 전 대표가 이끄는 이사회는 회의 소집 절차에서 발생한 문제를 만회하기 위한 기간 단축에 동의하지 않았다.
주총 일정이 불투명해지면서 피케이밸브는 정관 위반 위기에 놓였다. 피케이밸브는 지난 15일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오는 31일 주총 개최를 확정했다.
STX 관계자는 "전 대표가 3월13일 이사회가 개최되지 못하게 한 것은 주주총회일 지정 안건 외에도 이사 추가 선임의 안건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라며 "전 대표는 결국 반대표를 행사했고 이사회 의사록에 서명도 거부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IPO 추진 관련 신뢰성 문제도 지적했다. 전 대표가 지난 2년간 상장 주관사 IBK투자증권이 작성한 실사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이사회에 보고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STX 관계자는 "IBK투자증권이 이사 추가 선임 필요성 및 감사 독립성 확보 등 주요 사항을 공식 보고서를 통해 여러 차례 권고했음에도 단일 사내이사인 전 대표는 이사회에 전혀 보고하지 않았다"며 "STX에도 사실과 다르게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배당에 대한 의견도 엇갈렸다. 전 대표는 'IPO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배당 안건을 상정, 결의했다. 회사는 IPO 준비 과정에서의 배당은 한국거래소 가이드라인에 저촉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대주주인 STX는 배당에 대해 사전 공식적으로 공유받은 내용이 없으며 오히려 IPO 이후로 배당을 미루자는 의견을 냈다"며 "STX의 다른 모든 이사는 배당 의사 결정의 신뢰성에 의문을 표했으며 IPO 추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지적했다.
STX는 전 대표의 해임이 IPO를 통한 피케이밸브의 성장과 경영 투명성 확보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해임 과정 역시 이사회 결의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는 입장이다.
STX 관계자는 "전 대표의 이사회 및 주총 소집 절차 진행의 신뢰성 및 IPO 추진 의지에도 의문이 제기됐다"며 "임직원과 주주들의 이익 제고를 위해 대표이사 교체의 필요성이 부각됐고 해임 안건은 이사 전원의 동의로 가결됐다"고 했다.
STX는 2020년 10월 자회사 STX마린서비스와 STX 최대주주인 APC PE 등이 참여한 STX컨소시엄을 통해 흥아해운의 자회사였던 PK밸브를 인수했다. 컨소시엄은 경영권 포함 지분 37.37%를 169억원에 사들여 최대주주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