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시민센터가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영구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피켓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영구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피켓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낙동강의 핵심 오염원이라는 지적을 받아온 석포제련소를 폐쇄·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회에서 관련 토론회가 열린다.

강득구·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환경운동연합, 영풍제련소 주변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는 오는 26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영풍석포제련소 폐쇄·이전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김정수 환경안전건강연구소 소장과 권호장 단국대학교 교수가 영풍 석포제련소 주변 환경 피해 및 원인, 주민 건강피해 구제와 대책 방안 등을 제시한다. 김수동 영풍제련소 주변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상임대표 좌장으로 맹학균 환경부 통합허가제도과 과장,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부산지역 대표, 유종준 충남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윤경효 지속가능센터 이사, 지현영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등이 영풍 석포제련소 환경오염 문제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한다. 강득구 의원 등 국회관계자들과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도 자리를 함께한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중금속 유출로 비판받아 왔다. 이에 인근지역 주민 건강과 1300만 명에 달하는 영남 주민의 식수인 낙동강 수질을 위협하는 석포제련소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영풍은 환경오염 문제로 제재받고 있다. 영풍은 2021년 11월 최초로 열흘간 조업을 중단한 바 있다. 이어 최근에는 낙동강 폐수 유출로 '물환경보전법'을 위반해 지난달 26일부터 58일 동안 조업정지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황산 가스 감지기를 끈 채 조업한 사실이 적발돼 조업정지 10일 처분을 추가로 받아 총 68일간 조업을 중단하게 됐다. 지난해 10월에도 카드뮴을 공기 중에 배출하다가 당국의 제재를 받기도 했다.


영풍 장형진 고문은 지난해 10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았다. 카드뮴 유출 등으로 인한 낙동강 오염은 물론 중대 재해로 노동자들이 사망한 것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하지만 이후에도 전혀 달라진 것은 없다는 게 시민사회의 지적이다.

강 의원은 지난달 26일 기자회견에서 석포제련소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영구 폐쇄를 강조했다. 그는 "계속되는 환경 오염, 반복되는 산업재해로 인해 죽음의 제련소라고 불리는 영풍 석포제련소가 또다시 환경법을 위반해 조업 정지에 들어갔다"며 "석포제련소는 지난 10여 년 동안 120여 건의 환경법령 위반 사항이 적발됐고 90차례가 넘는 행정처분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폐수를 무단으로 방출하는 등의 불법 조업을 이어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