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산청에서 시작돼 하동, 진주, 지리산국립공원까지 번졌던 초대형 산불이 213시간 만에 진화됐다. 산불로 총 1858ha(헥타르)의 산림이 소실됐고 이재민 2158명이 발생하는 등 대규모 피해를 남겼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30일 산청 시천면 산불통합지휘본부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한민국 1호 국립공원인 지리산을 지켜낸 것은 도민 여러분의 헌신 덕분"이라며 진화대원과 공직자, 자원봉사자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이어 "순직한 공무원과 산불진화대원 네 분께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과 부상자에 대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와 산림당국에 따르면 산불은 지난 21일 오후 3시26분 산청군 시천면에서 시작돼 강풍을 타고 빠르게 확산됐다. 23일에는 하동군 옥종면, 25일 진주시 수곡면, 26일에는 지리산국립공원 일부로까지 번지며 피해가 커졌다.
진화에는 최대 헬기 55대, 인력 2452명, 장비 249대가 투입됐다. 특히 지리산 일대는 낙엽층이 두껍고 지형이 험해 진입이 어려웠으며, 강풍으로 불씨가 퍼지는 '비화' 현상까지 겹쳐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틀에 걸쳐 내린 비도 강수량이 1㎜ 미만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했다.
경남도는 피해 지역 중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산청 시천면·삼장면, 하동 옥종면 주민들에게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생계유지 어려움을 겪는 가구에는 의료비·주거비·난방비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재민에게는 임시 주거시설을 제공하고, 장기적 주거 안정 대책도 검토 중이다.
박 지사는 산불 대응체계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도 정부에 촉구했다. "긴급 상황에서 민간 헬기를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이착륙 허가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며 "중앙정부와 협의해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도 공식 건의했다. 박 지사는 "경남은 지리산과 맞닿아 있는 만큼 산불 예방과 진화의 거점이 필요하다"며 센터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남도는 향후 산불 재발 방지를 위해 주·야간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고, 열화상 드론으로 실시간 감시를 이어갈 계획이다. 헬기 40대, 진화차 79대, 인력 350명을 집중 투입해 잔불 정리와 재발화 대응에 나선다.
도는 청명·한식을 앞두고 공원묘지, 등산로, 입산 통제구역에 대한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하고 있으며, 주요 산림지역에는 입산 금지 조치를 시행 중이다. 박 지사는 "산림 인접 지역에서의 화기 사용과 폐기물 소각을 삼가 달라"며 도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