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식당 사장이 단체 손님을 데려오는 조건으로 리베이트를 요구한 여행사 버스 기사에 대해 분노했다.
지난 27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여행사 버스 기사 너무 당당하게 담뱃값 얘기하네요'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여행사 버스 기사에게) 갑자기 전화가 왔다. 30명 정도 갈 건데 인센티브나 담뱃값이 얼마냐고 물었다"고 설명했다.
A씨가 "우리는 그런 거 없다. 기사님 식사 정도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하자 기사 B씨는 "선배라는 사람이 전화가 와서 일부로 가는 건데 담뱃값도 안 주냐"고 되물었다. 이에 당황한 A씨는 "이게 일반적이고 통용되는 상식처럼 말하는데 맞을까요"라고 묻자 B씨는 "맞다. 거기가 관광지가 아니라서 통상 10% 정도는 주는 게 맞다"고 당당하게 돈을 요구했다. A씨는 "그럼 다른 가게 가셔야 할 것 같다"고 전화를 끊었다.
A씨는 "이게 맞는지 모르겠다. 너무 당당하게 요구하길래 맞나 싶어서 글을 올려본다"며 "어려운 시기에 장사하는데 여기저기서 참"이라고 분개했다.
A씨 사연을 두고 누리꾼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일부 누리꾼들은 "식당 매출을 올려주는 일이라 일부 수수료를 주긴 한다" "담뱃값 명목으로 10% 정도 주긴 한다" "암묵적인 룰 같은 것" "배달 대행사가 수수료 받아 가는 것과 비슷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부 누리꾼들은 "리베이트는 한번 주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사장님 마음이다" "주면 좋고 아니면 말고 식이지 대놓고 달라고 하니 기분 나쁘다" "식사하고 난 다음에 물어보면 고민이라도 해볼 것 같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부 관광버스 기사 등은 단체 손님을 관광지 식당으로 인도한 후 리베이트를 받는 것을 관행이라 주장한다. 다만 누리꾼들은 이는 식당 주인들이 서비스 개념에서 베푸는 호의일 뿐 당연한 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 누리꾼은 "버스 기사들이 세금도 내지 않는 불투명한 리베이트를 받는 것을 관행을 용인하는 것이 말이 되냐"고 강하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