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유통 한약재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4월부터 '2025년도 한약재 관능검사'를 실시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검사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한약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품질 저하 제품을 사전에 차단하고 유통 환경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관능검사는 '대한민국약전'과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따라 약재의 형태, 색, 냄새, 맛, 이물 혼입 여부, 건조·포장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한약재의 적합 여부를 판정한다.
이런 외형적 평가 기준을 '성상' 기준이라 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성상' 기준 위반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된다.
이번 검사에서는 중금속(납, 비소, 카드뮴), 이산화황 등 유해물질 검사도 병행해 한약재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평가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한의사, 약사, 한약사 등 6명의 외부 전문가가 관능검사위원으로 참여한다.
올해는 총 150건의 유통 한약재를 대상으로 관능검사와 유해물질 검사를 진행한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품목은 즉시 유통을 차단하고, 회수·폐기 등 신속한 행정조치를 시행한다.
지난해 처음 시행된 관능검사에서는 150건의 한약재 가운데 자소엽, 두충, 반하 등 6건이 성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김기철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장은 "한약재는 도민이 직접 섭취하는 의약자원인 만큼 철저한 품질관리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