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 조합과 시공사 현대건설이 공사비 2566억원 증액에 최종 합의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와 빌라촌 모습. /사진=뉴스1
서울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 조합과 시공사 현대건설이 공사비 2566억원 증액에 최종 합의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와 빌라촌 모습. /사진=뉴스1

공사비 증액 갈등을 겪은 서울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 조합과 시공사 현대건설이 서울시 중재로 공사비 2566억원 증액에 최종 합의했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공사 중단과 공사비 증액 갈등을 겪은 은평구 대조1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한 지 1년여 만에 합의를 이끌어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정비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고 있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파견하는 제도다.

문제가 된 대조1구역 재개발 사업은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총 3771억원의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면서 일반 분양과 준공 지연이 예상됐다. 시공사는 설계변경·특화설계 등 1776억원, 공사 중단·공기 연장 등 손실 비용과 물가 변동 등으로 1995억원을 추가 요구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1월 5일부터 코디네이터를 현장에 파견했다. 이들은 공사비 증액과 관련해 조합과 시공자의 제출 자료를 검토한 뒤 적절한 조정안과 중재안을 제시했다. 조합과 시공사는 공사비 2566억원 증액으로 합의를 이뤄 지난달 29일 의결했다.


2012년부터 진행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지난해 총 15개 정비사업에 파견됐다. 지난해 8월 미아3·안암2구역, 12월 역촌1구역에 이어 올해 1월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과 3월 대조1구역까지 총 8개 구역의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현재는 천호1구역, 노량진6구역 등 총 6곳에서 조정·중재하고 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조합 내부 갈등, 공사비 갈등 같은 여러 갈등 상황으로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갈등 관리에 적극 나서 신속히 주택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