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많은 막대한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물적 피해와 함께 적지 않은 인명 피해도 있었다.
산청과 의성을 중심으로 한 화재는 다행히 잡혔다. 하지만 이번 화재로 피해가 많은 이재민이 발생해 여전히 고통받고 있다. 이번 산불은 건조한 시기에 강풍까지 더해져 더 큰 피해로 이어졌다.
이번 산불을 계기로 체계적인 진화 체계와 예방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산림을 단순히 가꾸고 보존하는 단계를 벗어나 과학적으로 관리해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불에 강한 활엽수 중심의 '불막이 숲' 조성해야
이번 산불 피해 규모가 '소나무 숲' 때문에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불에 취약한 침엽수림 대신 불에 강한 활엽수를 심어 불막이 숲(내화수림대)을 조성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소나무의 송진은 테라핀과 같은 정유 물질을 20% 이상 포함해 불에 잘 탄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소나무는 활엽수보다 1.4배 더 뜨겁게 타고 불이 지속되는 시간도 2.4배 더 길다. 소나무는 사계절 잎이 있어 나무의 잎과 가지에 불이 붙어 산불이 빠르게 확산되는 '수관화' 현상에도 취약하다.
침엽수에 비해 활엽수는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어 상대적으로 산불에 잘 견딘다. 불에 강한 활엽수를 중심으로 내화수림을 조성하면 산불 발생 시 확산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산불방지 업무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산불관리통합규정에도 '내화수림대 조성'이 명시돼있다. 해당 규정은 제9조에 '지역산불관리기관의 장은 산불취약지역, 침엽수 단순림 등 대형산불 위험이 높은 산림'에 '참나무류 등 불에 강한 수종으로 내화수림대를 조성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
국내에서 침엽수림이 산림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다. '2022년 산림기본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침엽수림 비율은 38.8%, 활엽수림 33.4%, 혼효림(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되어 있는 산림) 27.8% 등이다.
경북은 소나무 숲 면적이 전국에서 가장 넓은 곳이다. 산림청 임업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경북의 소나무(소나무·해송) 숲 면적은 45만7902㏊다. 강원(25만8357㏊), 경남(27만3111㏊)보다 면적이 더 넓다. 산림 면적 중 소나무 숲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35%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솎아베기로 나무 밀도 조절하기도
나무 사이 간격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숲 내 나무 밀도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나무 솎아베기를 통해 불이 나무의 잎과 가지 부분에 옮겨붙는 수관화를 막을 수 있다.산림청은 그동안 솎아베기, 가지치기,어린나무 가꾸기 등의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달 10일 산림청은 솎아베기에 대해 '국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숲가꾸기는 풍속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반면 산림 내 연료 물질을 제거해 산불 위험성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미국에서도 산불확산 방지를 위해 숲가꾸기를 확대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