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이 청소년 매체이용률 1위를 차지했다. 이미지는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과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 그래프. /그래픽=여성가족부 제공
숏폼이 청소년 매체이용률 1위를 차지했다. 이미지는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과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 그래프. /그래픽=여성가족부 제공

최근 1년 동안 청소년들이 '숏폼'(짧은 영상) 콘텐츠를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의 성인용 영상물과 간행물 이용률은 감소했다.

여성가족부는 1일 '2024년 청소년 매체 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1년 동안 청소년의 94.2%가 숏폼 콘텐츠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숏폼 콘텐츠는 초등학생의 매체 이용률에서 1순위, 중·고등학생에서 2순위를 차지했다. 초등생의 경우 숏폼, TV 방송, 인터넷 개인방송·동영상 사이트 순으로 이용률이 높았다. 중·고생은 인터넷·모바일 메신저, 숏폼, 인터넷 개인방송·동영상 사이트 순으로 이용률이 높았다. 청소년의 절반 정도(49.9%)가 AI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집계됐다.


청소년의 최근 1년 동안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은 26.5%로 2022년 대비 21.0%포인트 감소했다. '성인용 간행물 이용률'도 11.2%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특히 초등학생의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이 13.7%(2022년 40.0%), 성인용 간행물 이용률이 6.0%(2022년 22.7%)로 지난 조사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중·고등학생의 음주·흡연 경험률도 감소했다. 최근 1개월 동안 음주 경험률은 12.1%, 흡연 경험률은 2.4%로 2022년에 비해 모두 감소했다. 2022년 조사에서는 음주가 13.7%, 흡연이 4.2%였다. 술과 담배를 직접 구입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주로 '편의점, 가게, 슈퍼마켓'에서 구입했다고 답했다. 해당 장소에서 나이·본인확인 등 성인인증을 하지 않은 비율은 술 40.4%, 담배 32.1%였다.

황윤정 청소년 가족정책실장은 "최근 청소년을 둘러싼 온오프라인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청소년들이 다양한 유해 요인에 노출되고 있다"며 "이번 실태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보호정책을 강화하여 청소년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여가부는 청소년 보호법에 따라 2년마다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초등학교(4~6학년) 및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만5053명이 대상으로 했다. 지난해 9월9일부터 11월8월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한국리서치가 조사 전용 누리집을 활용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