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2일 GA(법인보험대리점) 대표들과 만나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했다. 사진은 이세훈 수석부원장./사진=뉴스1 민경석 기자
금융감독원이 2일 GA(법인보험대리점) 대표들과 만나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했다. 사진은 이세훈 수석부원장./사진=뉴스1 민경석 기자

금융감독원이 인카금융서비스와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지에이코리아 등 9개의 주요 GA(법인보험대리점) 대표들과 만나 불법행위 등에 대한 내부통제 강화를 요청했다.

금융감독원은 2일 이세훈 수석부원장 주재로 주요 GA 대표와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 부원장은 "그간 대형 GA를 중심으로 내부통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많은 개선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내부통제상의 취약점을 노출하는 사건·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며 "GA가 성장한 만큼 높아진 입지에 부합하는 내부통제체계를 본격 구축할 시점이라 판단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GA 검사 시 대규모 허위·가공계약이 여전히 적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GA 소속 설계사들이 유사수신행위에 연루됐고, 이 중 일부는 제약 없이 다른 GA로 이동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부원장은 "불법행위 연루 설계사들이 다른 회사로 이동하여 보험영업을 혼탁하게 할 우려가 크므로 위촉 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보험업권에서 소비자 중심의 운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자회사 GA의 과도한 모회사 상품 밀어주기 관행과 경영인정기보험의 불완전판매 등의 사례를 지적했다.

법인보험대리점 대표들은 GA의 영향력 확대에 상응하는 내부통제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한편, 내부통제 우수 GA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GA 자체 적발·조치 위법사항에 대한 금감원의 제재 경감·완화 등을 요청했다.

GA 측은 "일부 GA에서 여전히 설계사 스카우트 과당 경쟁을 야기하고 있는데 GA업계 자율협약이 온전히 준수되길 바란다"며 "위법행위 설계사에 대한 등록취소 등 엄정 대응을 통해 건전한 시장질서 확립에도 힘써주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동영상광고의 경우 사전심의에 오랜 시간이 소요돼, 협회의 신속한 심사를 위해 금융당국에서도 신경써주길 바란다"며 "법적인 잠재고객(개인정보) DB를 수집·판매하거나 이를 제공받아 활용하는 행위에 대한 통제를 강화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으로도 금융감독원은 간담회, 내부통제 워크숍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GA업계와 긴밀히 소통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