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이동통신사들이 트래픽 폭증에 대비해 대응 체계를 총동원하고 있다.
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예정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전후해 통신 지연이나 장애에 대비한 실시간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특히 통신사들은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규모 집회로 인한 네트워크 혼란을 경험한 바 있어 이번에는 사전 대비에 더욱 신중한 모습이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첫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통신 3사는 ▲이동기지국 21대 ▲간이지국 5대 ▲인력 88명을 투입했지만 몰려든 인파로 인해 통신 품질 저하를 피하지 못했다.
이번에도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탄핵 찬·반 단체들의 철야 집회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규모 인파 운집이 예상되면서 통신 장비 보강이 이뤄지고 있다. 찬성 측은 안국역 1·6번 출구 인근에 반대 측은 5번 출구 인근에 집결한 상황이다. 경찰은 선고 당일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서울시는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을 무정차 통과시키는 등 인파 통제를 예고했지만 탄핵 인용·기각 여부에 따라 대규모 집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현장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장비 사전 최적화 ▲추가 개통 ▲이동기지국 배치 등의 조치를 통해 통신 품질 유지에 나선다. 지난해 12월부터 관련 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이번 선고를 앞두고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한 상태다.
KT 역시 전국 주요 지역의 통신 기지국을 점검하고 네트워크 증설 작업을 마쳤다. 광화문과 여의도, 부산역 등 집회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는 네트워크 전문가를 현장에 배치해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쳤다.
LG유플러스도 지난해 말부터 광화문과 안국역 인근에 이동기지국, 임시중계기, 발전 장비 등을 추가로 설치하고 상주 인력을 투입했다. 트래픽을 수시로 모니터링하며 특이 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대규모 인파 운집이 예상되는 지역 중심으로) 집회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 기존 장비 사전 최적화와 추가 개통 등을 통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라며 "시민과 당사 구성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