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올해 1분기 매출 6조1045억원, 영업이익 3673억원(연결기준)을 기록했다고 3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마케팅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36.7%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 감소와 KT테크 청산비용 383억원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47.5% 감소했다.
무선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가 4분기 연속 상승하며 무선분야 매출이 증가한 점, 미디어·콘텐츠 매출이 2분기 연속 3천억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이어간 점 등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고 KT 측은 분석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무선분야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4% 성장한 1조7565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LTE 가입자는 3월말 기준 507만명이며, LTE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ARPU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KT의 LTE 가입자 비율은 30.8%로 3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LTE 보급률 확대에 따른 ARPU와 매출 성장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전망이다.
유선분야에서는 유선전화 매출이 가입자와 사용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다. 유선전화 매출 감소세가 계속되면서 지난 몇 년 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KT는 IP 기반 서비스 가입자를 확대해 올해 유선분야 매출을 성장세로 전환시키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미디어·콘텐츠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6.2% 성장한 3141억원을 달성했다. IPTV와 Skylife를 포함한 KT그룹 미디어 가입자는 1분기 20만명 가까이 순증한 622만명에 달했다. 금융·렌탈 매출은 BC카드와 KT렌탈의 성장세가 계속되면서 9169억원을 기록했다.
KT CFO 김범준 전무는 "KT는 All IP 인프라, 단말,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고객기반을 확대함으로써 미래 성장 기반을 다지는데 주력했다"며 "또한 국내 최대 All IP 가입자 기반 위에 가상재화 유통이 본격화되고, 향후 각 분야 1~2위 위치에 있는 그룹사들의 성장과 시너지가 본격화 되면서 KT그룹의 가치는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KT, 1Q 영업익 3673억원…전년比 36.7%↓
김수연
3,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