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제주도해변(출처=머니투데이DB) |
새빨갛게 달궈져 돌마저도 녹일듯한 용암의 온도는 얼마나 될까?
마그마가 지표 또는 그 가까이에서 분출하면 휘발 성분의 대부분은 가스로 빠져나가는데 그 나머지를 용암이라 한다.
용암이 굳어지면 고체 용암 또는 화산암이 된다. 용암은 다양한 화학조성을 가지며 특히 이산화규소(SiO2)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66% 이상의 산성인 유문암질, 53~66%의 중성인 안산암질, 45~52%의 염기성인 현무암질 용암으로 나뉜다.
분출할 때 용암의 온도는 산성에서 염기성으로 갈수로 높다. 산성인 유문암질 또는 석영안산암질 용암에서는 900~1,000℃, 중성인 안산암질 용암에서는 1,000~1,100℃, 염기성인 현무암질 용암에서는 1,100~1,2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