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대응책을 마련했다고 밝혔지만 승객들의 불편과 물류차질 등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9일 "철도노조 파업에 대응하여 지난 6일부터 운영 중인 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비상수송대책을 차질없이 시행해 국민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KTX와 수도권 전철, 통근열차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필수유지인력과 철도공사 내 대체인력, 군 대체인력 등을 투입해 100% 정상 운행하겠다는 게 국토부의 계획이다.


이번에 투입되는 대체인력은 철도차량운전 등 필요한 자격증을 갖춘 인력들로 구성됐다. 파업에 대비해 평상시 꾸준한 교육을 통해 철저히 준비돼 왔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대한 우려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는 일부 운행이 감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국토부는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적기에 투입할 방침이지만 승객들의 불편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파업으로 멈춰선 철도…승객 불편·물류차질 불가피
▲9일 오전 서울역 매표소 전광판에 철도노조의 불법파업을 알리는 안내문이 나오고 있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은 이날 수서발 KTX 설립이사회 개최 중단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 투쟁 돌입을 선언했다.(사진 = 뉴스1 박지혜 기자)
 

철도파업에 따른 열차이용상의 유의사항과 대체교통수단 이용에 대해서는 철도공사 홈페이지(예약사이트)에서 안내하고 있다. 이용 시에는 사전에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화물열차 운행이 평시 대비 35%이상 감소해 물류 차질도 예상된다.

일단 경기도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의 경우 파업 첫째날인 9일 하루평균 반출입량의 절반 수준인 400∼500TEU가량의 화물수송에 차질이 우려된다. 부산항도 파업이 장기화하면 중량화물 등의 운송에 일부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이밖에 전남 여수산단과 광양항에서 출발하는 물류 수송 또한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화물열차 운행이 부족할 경우에는 화물자동차로 전환수송이 이뤄지도록 관련 업계와 긴밀히 협조중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철도노조는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에 대한 반대하며 9일 오전 9시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수서발 KTX의 자회사 설립이 민영화 수순이라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코레일 측의 입장은 경영권 확보를 위한 조치를 취한 만큼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철도노조가 실제 파업에 들어가면 명백한 불법파업인 만큼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철도사법경찰대와 경찰의 협조를 통해 노조가 불법으로 철도역 시설이나 차량 등을 손괴할 경우 즉각 사법처리하고, 대체 기관사 등에 위력이나 욕설 등을 가해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적극 조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