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원장 유길상)은 임금 근로자의 ‘희망 근로시간’과 ‘실제 근로시간’ 간의 차이, 즉 근로시간 미스매치를 파악하기 위해 만 20세 이상 임금 근로자 3,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21.9%가 현재 주된 일자리의 근로시간이 자신이 원하는 근로시간보다 긴 ‘과잉근로’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실제 근로시간이 희망 근로시간보다 짧은 ‘과소근로’ 임금 근로자는 1.3%(약 22만 명)에 그쳤다.
'과잉 근로’라고 응답한 근로자는 남성(22.5%)과 20대(23.9%), 전문대졸(23.2%)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판매종사자(35.7%) 및 서비스종사자(27.4%)에서 많이 나왔고, 상용직(21.9%) 보다는 임시직(25.7%), 300인 이상 대기업(9.0%) 보다는 10인 미만 소기업(24.1%)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주당 실제 근로시간(초과근로 포함)은 ‘과잉근로’ 근로자가 53.6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과소근로’ 근로자는 35.3시간을 ‘적정근로’ 근로자는 44.5시간을 일하는 것으로 확인돼 근로시간 유형 간에 차이가 컸다
반면, 주당 희망 근로시간은 ‘과잉근로’ 근로자가 42시간, ‘과소근로’ 근로자가 42.7시간, ‘적정근로’ 근로자가 41.9시간으로 응답해 근로시간 유형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즉, ‘과잉근로’ 근로자는 원하는 근로시간보다 주당 평균 11.6시간 더 오래 일하는 반면, ‘과소근로’ 근로자는 희망 근로시간에 비해 실제 근로시간이 주당 평균 7.4시간 더 짧았다.
‘과잉근로’ 근로자들의 49.2%가 과잉근로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일자리 특성상 정규 근로 시간이 길다’를 꼽았고 ‘주어진 일을 마치기 위한 초과 근로를 할 수 밖에 없다(18.0%)’, ‘원하는 소득을 얻기 위한 초과 근로를 해야 한다(14.0%)’, ‘조직 문화적 이유로 정시 퇴근이 어렵다(9.1%)’ 등의 답이 뒤를 이었다.
이 때문일까. 과잉근로를 하고 있는 임금근로자의 대부분인 70.4%가 근로시간을 줄이기 위한 별다른 노력은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잉근로’ 근로자의 9.2%만이 “임금이 줄더라도 근로시간을 줄이고 싶다”고 답해, 임금 감축을 동반한 근로시간 단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판매·서비스종사자 "난 '너무' 많이 일해"
강인귀 기자
2,850
2014.01.02 | 18: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