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남문지(출처=문화재청 보도자료)
▲남성 남문지(출처=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충청북도 증평군에 있는 ‘증평 추성산성’(曾坪 杻城山城, 현 충청북도기념물 제138호 증평 이성산성·二城山城)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 제527호로 지정한다고 22일 밝혔다.
‘증평 추성산성’은 지방에 존재하는 가장 큰 규모의 한성백제 시기(4~5세기) 토축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의 이중 구조로 된 남성·북성의 독특한 배치를 이루고 있다.

성벽 축성방식은 초기 단계의 판축기법과 성토다짐이 사용되었다. 판축기법이란 흙을 넣어 펴고 ‘축’이란 기구로 다진 다음, 다시 흙을 넣고 다지기를 반복하여 축조하는 토성의 축조방법을 말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지역 고유양식의 유물을 비롯하여 가야 지역과 영산강 유역에서 출토되는 유물이 함께 나와 당시의 국제정세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 성벽의 잔존상태가 양호하여 한성백제 산성의 축성기법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학술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조선시대 전 시기에 있어서 ‘추성산(杻城山)’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던 점 등을 고려하여, 현 충청북도 기념물의 지정 명칭인 ‘증평 이성산성(曾坪 二城山城)’에서 ‘증평 추성산성(曾坪 杻城山城)’으로 지정 명칭을 변경하기로 하였다.

문화재청은 "충청북도, 증평군과 협력하여 이번에 사적으로 지정된 증평 추성산성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경 사진(출처=문화재청 보도자료)
▲전경 사진(출처=문화재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