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제공=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는 교육부(장관 서남수)와 공동으로 단체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초등학생의 감염병 예방을 위해 입학 시 4종 백신에 대한 예방접종 기록을 확인할 계획이라 27일 밝혔다.
만 6~7세 어린이가 취학하는 시기는 영유아 때 받은 예방접종의 면역력이 점차 감소하는 때로, 감염병 발생에 취약한 시기.

이에 정부는, 만 4~6세 때 받아야 하는 DTaP(5차), 폴리오(4차), MMR(2차), 일본뇌염(사백신 4차 또는 생백신 2차) 등 4종 예방접종을 완료했는지 취학 시 확인(입학일로부터 3개월간)할 계획이다.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은 보호자가 <예방접종 증명서>를 발급 받아 제출하는 번거로움 없이, 2012년 부터는 교사가 학생의 예방접종 여부를 온라인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2014년 3월 취학을 앞둔 자녀의 보호자는 입학 전에 자녀의 예방접종 내역이 전산등록 되어있는지 인터넷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nip.cdc.go.kr) 또는 모바일 예방접종도우미 앱에서 확인 후, 빠진 접종이 있을 경우 입학 전까지 접종을 완료하고, 접종을 완료했지만 전산등록이 누락된 경우는 접종받았던 의료기관에 전산등록을 요청하면 된다.

접종내역 4종이 온라인으로 모두 확인된 경우 별도로 학교에 <예방접종 증명서>를 제출할 필요 없으며, '예방접종 금기자’ 및 ‘의료기관에서 전산등록이 불가한 경우’ 에는 의료기관에서 <취학아동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입학 시 학교에 제출하면 된다.

예방접종관리과 박옥 과장은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으로 학령기 아동의 접종률이 높아지면 교내 감염병 유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더 건강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1월부터 만 12세 이하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비용 전액을 국가에서 지원해 전국 지정의료기관(7천여 곳)에서 무료 접종이 가능하다"며 “학생 본인은 물론, 함께 공부할 친구들의 건강을 위해 빠진 접종이 있으면 접종을 완료하고 입학"할 것을 학부모에 당부했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 무료접종 대상 백신(12종)
BCG(피내용), B형간염, DTaP, IPV, DTaP-IPV, MMR, 수두, 일본뇌염 사백신, Td, Tdap, Hib, 일본뇌염 생백신(2.10일부터 무료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