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척추옆굽음증
▲청소년기 척추옆굽음증
허리가 똑바로 서지 않고 좌우 또는 앞뒤로 휘어지는 ‘척추 굽음증’에 대한 조사결과 여성환자가 남성보다 2배정도 많았으며, 특히 10대 여성의 경우 평균에 비해 4배나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2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척추 굽음증(M40/M41)'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진료인원은 여성 94,254명, 남성 50,459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9배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0~20대가 전체 연령의 52%(10대 38.3%, 20대 13.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 굽음증' 성별/연령별 분포(2012년 기준)
▲'척추 굽음증' 성별/연령별 분포(2012년 기준)
연령대별 인구수를 고려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역시 10대가 897명으로 전체 평균 291명에 비해 3.1배 많았으며 특히 10대 여성이 인구 10만명당 1,183명으로 전체 평균 291명에 비해 4.1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김형섭 교수는 “남성 보다 여성이 갱년기 이후 호르몬이 급속히 줄어들기 때문에 여성의 척추건강이 남성보다 취약할 수 있는데, 척추뒤굽음증․앞굽음증은 흔히들 말하는 꼬부랑 할머니처럼 갱년기 이후(폐경기) 골다공증이 심한 여성에게 흔히 관찰되며, 파킨슨병이나 근육병 질환을 가진 환자를 비롯해 척추 결핵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골다공증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약물치료와 함께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척추옆굽음증의 경우 10대 여성에게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아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찰을 할 필요가 있으며, 척추옆굽음 및 척추앞․뒤굽음 모두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척추 주위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미지제공=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국민건강보험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