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아이스크림 시장은 2조 1천억원의 규모로 시판과 프랜차이즈 시장으로 구분된다.
시판 아이스크림은 기존의 빙과류 위주에서 콘, 컵, 바, 펜슬, 홈 등 다양한 형태의 프리미엄 제품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 중에서도 펜슬 형태의 아이스크림 시장은 2013년 기준 2천 3백억원대로 전체아이스크림 시장 중 14.2% 규모를 형성하는 등 매년 5%대의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속적인 성장추세에 있는 아이스크림 펜슬 시장을 선점하기 하기 위한 업계의 제품 경쟁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 |
▲ 제공=한국야쿠르트 |
지난 12일 기존 요거스노우, 베리스노우 맛 2종의 ‘얼려먹는 세븐’에 더해 허니 망고 맛을 새롭게 선보였다.
최근 날씨가 무더워지면서 예년보다 일찍 어린이들이 빙과류를 많이 찾는 경향과 ‘얼려먹는 세븐’의 맛의 다양화 전략이 맞물려 최근 수요가 급상승 중이다.
3월에 일평균 7천 8백개 수준에 머물렀던 수량이 5월 들어서는 5만 6천여개로 일평균 수량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한국야쿠르트 관계자에 따르면 “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여름철이 되면 일평균 20만개 이상이 팔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얼려먹는 세븐’은 지난해 5월에 첫 출시되어 200억의 매출 성과를 보인 대박 제품이다. 7가지, 1000억 프로바이오틱스가 살아있는 아이스 요거트(Ice Yogurt)로 장 건강까지 생각한 제품이며, 색소와 트랜스 지방이 들어있지 않아 여름철 빙과류 섭취가 많은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먹을 수 있는 제품이다.
올해는 요거스노우, 베리스노우, 허니망고 등 총 3종의 ‘얼려먹는 세븐’으로 고객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건강과 맛 두 가지의 차별성을 부각시켜 300억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빙그레는 요거트 아이스크림인 ‘요맘때’를 출시 10주년을 맞아 다양한 컨셉의 요거트 아이스크림으로 리뉴얼되었다.
‘요맘때’는 친숙한 바(bar)타입에서부터 펜슬, 컵, 콘 타입 아이스크림에까지 이르는 종합적인 프로즌 요거트 라인업을 구축했다.
여기에 최대 100억 마리의 살아있는 유산균을 함유해 요거트 본연의 건강함을 더욱 강조하는데 힘을 쏟았으며,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캐릭터를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으로 한층 더 차원 높은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롯데제과의 ‘설레임’은 아이스크림 펜슬형태의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출시 10년째를 맞아 10억개가 판매된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는 제품이다. 바나나맛, 밀크, 커피, 쿠키앤크림 4종으로 맛의 다양화와 디자인 등 고급화와 편의성이 인기비결로 꼽힌다.
업계관계자에 따르면 “올해는 일찍 찾아온 무더위와 펜슬형태의 유사한 컨셉 제품 출시들이 예상되어 시장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