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환자 47.9%, 20~30대도 증가율 급격해
자궁근종은 여성질환 중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40대 환자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1년도 건강보험 진료인원 28만5,544명 중 40대는 13만6,689명으로 전체의 47.9%를 차지해 10년 새 2배나 증가했다.
최근에는 20~30대도 급격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연평균 환자 증가율에서는 20대와 30대가 각각 6.9%, 5.6%로 40대의 4.8% 보다 높게 나타났다.
40대에 자궁근종이 빈번한 이유는 타 종양과는 형성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자궁근종은 자궁근층에서 근육 세포들로 만들어지는 종양으로 암이나 타 종양에 비해 형성과정이 비교적 느리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자궁근종은 초경 이후에 작은 덩어리로 시작해 5~10년에 걸쳐 서서히 자라게 된다. 40대가 되어서야 초음파 검사 등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청담산부인과외과 김민우 원장은 “자궁근종은 최근 20~30대가 급격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환자가 가장 많은 30대 후반에서 40대 역시 가임기 여성으로 분류되므로 가능하다면 자궁의 기능을 유지하고자 하는 환자가 많다”며 “최근에는 자궁적출을 하지 않고 근종을 치료할 수 있는 시술법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말했다.
이어 "시술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 하이푸(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시술은 고강도 초음파 종양 치료술로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해 절개 없이 자궁근종만을 소멸시키는 최신 치료법"이라고 소개했다.
▶예방법 없는 자궁근종, 자궁초음파 주기적으로 해야
이렇게 하이푸, 색전술, 용해술 등 자궁근종의 치료법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지만 자궁근종의 예방법은 특별히 정해져 있는 것이 없다. 호르몬의 영향으로 종양이 발생한다는 보고는 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이 더욱 중요하다.
자궁근종을 위한 정기검진은 자궁경부암을 위한 정기검진과는 다르다. 흔히 ‘자궁암검사’라고 불리는 자궁경부암 검사는 자궁 입구만 검사하는 것으로 자궁 내부는 알 수가 없어 근종을 위한 검사라고 하기 어렵다. 검사 시, 주치의의 내진으로 근종을 진단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때는 근종의 크기가 어느 정도 커야 촉진이 가능하고 복부비만인 경우에는 진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자궁근종의 진단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자궁초음파검사다. 크기에 대한 오차가 약 1cm 정도 있을 수 있으나, 자궁근종 진단에 무리가 없어 가장 널리 이용된다. 자궁초음파 검사 시 변성이나 악성이 의심될 때는 2차적으로 CT, MRI 검사를 시행한다.
김민우 원장은 “자궁근종은 크기와 개수에 따라 치료과정이 달라지므로 조기발견이 중요하다”며, ”간단한 초음파 검사만으로 아주 작은 1cm 미만의 자궁근종도 발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도움말=청담산부인과외과, 이미지제공=비타커뮤니케이션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