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승범 서울대학교 교수. /사진=머니투데이 DB |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박승범 서울대 교수와 석경호 경북대 이학전문대학원 교수 연구팀가 뇌조직에서 변성된 세포나 이물질 등을 없애는 소교세포 내 신경 염증 발생 억제 화합물 ‘ICM’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연구팀은 뇌염증을 유도한 쥐에게 이 화합물을 투여한 결과 염증에 의한 뇌손상이 회복됐고 마비증상도 완화됐다. 해당 화합물을 투여함에 따라 뇌척수액과 혈청에서 염증유도 단백질(HMGB) 농도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메커니즘은 ▲3500종 가량의 화합물 합성 ▲활성화된 소교세포에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ICM 발견 ▲ICM의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는 HMGB 발견으로 진행된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적연구),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유전자동의보감),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는 지난 12일 화학생물학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온라인판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