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머니투데이 DB |
국내 카드사가 로열티를 지급하는 비자나 마스터 등 국제브랜드카드의 연회비가 3년 새 3배 이상 증가했다.
15일 금융감독원이 김영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비자와 마스터 등 국제브랜드카드 명칭을 이용한 해외겸용카드의 연회비는 9876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0년 말 이들 카드의 평균 연회비(3265원) 대비 3배 이상 높은 금액이다. 불과 3년 새 평균 연회비가 3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이다.
국내 카드사들은 비자와 마스터 등 국제브랜드카드사에 지난해 1년 간 명칭 사용 등으로 2000억원이 넘는 로열티를 지급했다.
이들 카드의 연회비는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는 다른 해외겸용카드 연회비 대비 2배 이상, 국내 전용 카드 대비 3배에 달한다.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는 해외겸용카드의 평균 연회비는 2010년 2779원에서 지난해에는 4595원으로 올랐다. 국내 전용카드는 2010년 1610원에서 지난해에는 3340원이었다.
이에 따라 국내 카드사들은 작년 한 해 동안 연회비로만 5719억원을 거둬들였는데, 이 중 77%인 4426억원이 로열티를 지급하는 해외겸용카드 연회비였다.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는 해외겸용카드 연회비 수익은 306억원, 국내 전용카드 연회비는 987억원이었다.
김 의원은 "로열티 부담이 연회비 상승 요인으로 이어져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다"며 "정부는 로열티 부담을 연회비로 충당하려는 카드사를 철저히 관리감독하고 국제브랜드카드 수수료 체계 개편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