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의 문제점인 신뢰성과 불안함을 제거하고, 오프라인 쇼핑의 불편함과 비용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는 온라인 시장의 성장의 한계와 오프라인 시장이 불황에 허덕이는 시점에서 나온 소비를 촉진시키고 시장을 성장시키는 대안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소비자들이 매장을 둘러보고 매장에서 즉시 상품을 구매하거나, 매장에서 물건을 확인한 뒤 인터넷에서 물건을 구매했다.
예전에는 소비자들이 매장을 둘러보고 매장에서 즉시 상품을 구매하거나, 매장에서 물건을 확인한 뒤 인터넷에서 물건을 구매했다.
![]() |
O2O 서비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e커머스보다 4~10배 이상 성장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성장을 넘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시장이 완전히 통합된다면 소비가 늘어나 경제가 활성화되는 선순환 효과가 발생하고, 상가 부동산 가치 지도가 완전히 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O2O는 벤처에게는 기회의 영역이다.
그렇다면 O2O 서비스 시장이 성장하기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그것은 ‘위치기반 기술’이다. 온라인 쇼핑의 발달로 온라인상의 결제 시스템은 거의 다 완성되었다.
오프라인 시장이 온라인과 결합이 되려면 온라인 결제 시스템과 오프라인 시장의 판매 시스템이 결합되어야 하는데, 오프라인 시장은 모두가 공간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고객이 받은 쿠폰이나 마케팅 및 상품 정보를 가지고 매장을 방문하는 것은 위치정보가 절대적인 정보로 작용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위치정보의 축적으로 인해 빅데이타도 발생 할 것이다.
국내 위치정보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선도기업인 ‘씨온’은 이러한 위치기반 기술을 이용해 O2O 서비스 시장을 열어가고 있다.
국내 위치정보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선도기업인 ‘씨온’은 이러한 위치기반 기술을 이용해 O2O 서비스 시장을 열어가고 있다.
모바일 역경매 서비스 앱으로 쇼핑, 외식, 미용 등 자영업 점주와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직접 1대 1로 흥정을 벌여 가격을 정하고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 앱인 ‘돌직구’와 오프라인·온라인 연결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직접 참여해 맛집 지도를 완성해나가는 사용자 참여형 맛집 정보 서비스 ‘식신 핫플레이스’가 바로 그것이다.
씨온의 안병익 대표는 “현재 국내 모바일 O2O 서비스는 기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다”면서, “솔루션 개발사들의 참여도가 높은 서비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베테랑 맛집 추천 서비스 앱인 ‘식신 핫플레이스’는 최근 50만 다운로드를 기념하여 자영업의 매장 홍보 비즈 상품을 출시했다.
한편 베테랑 맛집 추천 서비스 앱인 ‘식신 핫플레이스’는 최근 50만 다운로드를 기념하여 자영업의 매장 홍보 비즈 상품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식신 비즈 상품은 식신 매장 구축 및 온, 오프라인에서의 홍보물 제작을 지원해주는 ‘식신 핫플레이스 비즈’ 패키지와, 식신 핫플레이스 웹사이트와 앱을 통한 ‘배너광고’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신 핫플레이스 비즈 상품은 주소, 영업시간, 전화번호 등의 기본 정보와 매장과 메뉴사진, 인기메뉴 등 상세한 매장의 정보를 구축해주며, 식신 핫플레이스의 지역 카테고리와 주변 지도, 매장 검색 시 매장 정보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상공인이 직접 제작하기 어려운 매장 홍보 동영상을 제작해 줌으로써 홍보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해준다.
안병익 대표는 “특히 이번 동영상 제작 서비스는 불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 점포에게 부담 없는 가격의 보다 효과적인 홍보채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식신 핫플레이스는 기존의 오프라인 홍보방식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에 더 효과적인 자영업 점포 홍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