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씨(34세)는 어깨가 아프고 뒷 목이 당겨 고생했다. 일시적인 피로현상으로 여겼지만 증상은 사라질 기미가 안 보였고 팔까지 저려왔다. 이에 불안한 마음에 병원을 찾아 진단받은 결과 목 디스크 판정을 받았다.

못된 생활습관, 목 디스크 유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목디스크로 입원한 환자 수가 2010년 3만4000여 명에서 2012년 5만 8000여 명으로 3년 동안 약 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즘에는 과거와 달리 젊은 층에서도 목 디스크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 대부분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목뼈가 변형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와 스마트 폰 사용 시간이 길어지고 책상에 앉아 공부나 사무를 보는 시간이 많다 보니 고개가 한쪽 방향으로 쏠린 자세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질환이 발생하게 된는 것.

또한 목뼈의 정상적인 C곡선이 변형되어 앞으로 꺾이거나 일자목이나 심하면 거북목이 된다. 목과 어깨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되면 통증을 동반한 피로와 두통을 일으키고 심하면 팔이나 손에 저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청주프라임병원 척추센터 서현성 원장은 “목뼈 사이에는 추간판이 위치하여 몸무게를 분산시켜주고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퇴행성 변화나 잘못된 자세, 외상으로 인해 추간판이 손상되면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 질환이 목 디스크(경추 수핵 탈출증)이다.”라고 말했다.

목 디스크 예방할 수 있다

목 디스크라고 해서 무조건 수술하지는 않는다. 초기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의 완화를 관찰한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신경차단술을 시행한다. 신경차단술은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에 약물을 주입해 치료하는 방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킨다. 

또 꼬리뼈쪽에 특수한 관을 통해 문제가 되는 경추부위에 약물을 투입하는 감압신경성형술을 활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탈출된 디스는 고주파수핵 감압술로 치료가 가능하다.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들은 시술시간이 짧고 입원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 수술적 치료로는 작은 피부 절개로 미세 현미경을 이용해 병소를 제거하는 현미경 수술이 있다. 척추를 고정하는 수술이 아니므로 수술 후 관절의 가동성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자유롭다.

서현성 원장은 “목 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구부정한 자세는 어깨가 둥근 상태가 되어 몸보다 머리가 앞으로 나와 목 근육에 상당한 피로를 준다. 허리를 곧게 펴고 턱은 당기듯이 앉으며 머리는 목으로부터 15도 이상 굽혀지지 않도록 한다. 컴퓨터 이용시 자신의 팔과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자판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고 조언했다.

도움말=청주프라임병원 척추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