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승철 입국거부’
상식을 뛰어넘는다. 가수 이승철이 ‘독도’ 관련 활동 때문에 일본 입국 거부를 당했다.
이승철의 소속사 진앤원뮤직웍스에 따르면 “이승철은 지난 9일 오전 아내 박현정 씨와 함께 일본 지인의 초대로 아시아나 항공편을 이용해 도쿄 하네다 공항에 도착했다. 그러나 그는 출국사무소에 4시간가량 억류됐다가 풀려나야만 했다”고 알렸다.
소속사 관계자는 “억류 때 이승철이 부당한 처사를 문제 삼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자, 출입국사무소 직원이 독도 관련 언급을 감춘 채 20여 년 전 대마초 흡연 사실을 거론하기 시작했다”며 “그러나 이승철은 대마초 사건 이후 일본에 15차례 입국하면서도 아무런 제재를 받은 적이 없었고 2000년대 초반에도 현지에서 콘서트를 여는 등 활동에도 제약을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더불어 이승철 일본 입국 거부에 대해 소속사 측은 “이승철이 독도에서 ‘통일송’을 발표하고 이와 관련한 언론 보도가 나온 데 대한 표적성 입국 거부로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이승철은 광복절을 하루 앞둔 8월 14일 탈북청년합창단과 함께 독도를 방문해 통일을 염원하는 노래 ‘그날에’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이승철은 “독도와 위안부 문제는 남북한의 공통된 관심사 중 하나라고 판단해 독도를 찾았다”고 이야기 한 바 있다.
이승철은 일본의 부당한 대우에 대해 “내 나라 내 땅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이런 식으로 문제 삼았다면 이에 굴복하지 않을 생각”이라며 “일본에 재입국하지 못하는 일이 있더라도 부당한 일에 적극 대처하고 싸워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가수 김장훈은 11일 오전 3시께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본의 이승철 입국거부는 세계적 망신의 자충수”라는 장문의 글을 게재했다. 이어 “제가 진행하고 있는 독도와 강제 성노예 문제에 대한 계획들의 추진에 다시금 힘이 불끈 솟네요. 같이 합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 측은 지난 2012년 독도 수영 횡단 프로젝트에 동참한 배우 송일국에 대해서도 이같은 입장을 보인 바 있다. 당시 일본 외무성 야마구치 츠요시 부대신(차관)은 “송일국은 일본에 입국하기 힘들 것”이라는 말을 했다. 이에 송일국은 “그냥 제 아들 이름이나 불러봅니다. 대한 민국 만세”라는 글을 SNS에 올리며 항의한 바 있다.
지난 2011년 독도 문제로 한일 양국의 대치국면이 강했던 무렵 보이그룹 비스트, 씨엔블루 등 다수의 인기 가수들이 일본 입국 당시 공항에 8시간가량 억류된 채 입국을 거부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당시 일본 측은 표면적으로 비자 문제를 들먹이며 시비를 걸었지만 당시 악화된 한일 관계에 기인했던 일로 파악되고 있다.
<사진=진앤원뮤직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