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증 부정사용으로 인해 건강보험재정에서 연간 4000억원의 금액이 누수되고 있다는 추정이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일 건강보험자격이 없는 사람이 건강보험 가입자의 명의를 몰래 쓰거나 건강보험증을 빌리고 빌려주는 수법 등으로 한 해 동안 새는 보험재정 규모가 4000억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2년 현재 국내 체류하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이 152만명이다. 이 중에서 건강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58만명(38%)이고, 가입하지 않은 사람은 94만명(62%)이다.
건강보험 가입자 58만명이 건강보험 진료를 받고서 건강보험공단이 요양기관에 지급한 공단 부담 진료비는 1인당 연평균 46만8085원이다.
공단은 국내에 살면서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94만명이 건강보험증 도용이나 대여 등 부정한 방법으로 건강보험 가입 외국인 및 재외국민과 비슷하게 건강보험 진료를 받는다고 가정했다. 그러면 단순 계산해도 공단이 요양기관에 내야 할 금액은 약 4400억원(1인당 평균 진료비 46만8085원×94만명)이란 추계가 나온다는 것.
다만 이런 수치는 국내 체류 외국인 및 재외국민만 계산한 것일 뿐 내국인의 부정수급 규모는 제외한 것이어서 실제 누수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공단은 보고 있다.
건보공단 "건강보험증 부정사용으로 연간 4000억원 누수"
유병철 기자
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