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봉 사과’
‘2014년 청년착취대상’의 영예를 안은 이상봉 디자이너가 논란이 커지자 자신의 트위터에 공개 사과문을 게시했다.
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는 이상봉 디자이너가 최근 불거진 청년 노동력 착취 비판에 대해 공개 사과에 나섰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에 “이번 일들을 계기로 정말 나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면서 자숙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디자이너로서의 삶에만 집중하다 보니 회사 경영자로서의 본분에 충실하지 못했다”며 “디자이너들에게 귀감이 될 수 있는 이상봉이 될 수 있도록 정말 철저히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상봉 디자이너는 사과와 함께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패션업계 현장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문제점들을 듣겠다”며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실적인 대안에 대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7일 패션업체 인턴 등이 주축이 된 패션노조와 청년유니온은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이상봉 디자이너를 ‘2014년 청년착취대상’으로 선정했다. 패션노조 페이스북에서 청년 노동력을 착취하는 디자이너에 대한 투표를 실시한 결과, 이 디자이너가 111표 가운데 가장 많은 59표를 획득한 것.
패션노조는 “이상봉 디자이너가 ‘견습 월급 10만원, 인턴 월급 30만원, 정직원 최저 임금 이하 채용’과 같은 방식으로 청년들의 열정과 노동을 착취했다”고 밝혀 ‘열정페이’라는 논란의 불씨를 지폈다. ‘열정페이’란 꿈과 열정을 펼치게 해준다는 구실로 청년층에게 낮은 임금을 주는 일부 업계의 관행을 비꼰 신조어다.
이후 고용노동부가 수습과 인턴 직원, 아르바이트생에게 과도하게 낮은 임금을 지불하는 관행이 일반적인 패션업계 관련 업체 등을 대상으로 특별 근로감독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상봉 디자이너 외에도 최범석, 이석태 등 청년 착취대상에 선정된 디자이너들이 잇따라 공개돼 논란이 일었다. 이상봉 디자이너에 이어 ‘2014 청년착취대상’으로 이석태 디자이너, 이승희 디자이너, 최범석 디자이너, 고태용 디자이너 등이 뒤를 이었다.
<사진=이상봉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