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좀약,바르거나 먹을수 없다면…'레이저 무좀치료' 등장
무좀이 제때 치료되지 않으면 발톱에 균이 침투하고 손톱까지 옮겨가기도 한다. 이러한 손발톱무좀은 진균에 의해 손발톱이 점점 두꺼워지고, 유백색 혹은 황갈색으로 변하고 파괴되는 질환이다. 

한번 생기면 손발톱이 변형되며 이차적인 세균감염도 잘 일으킨다. 반복되는 감염과 관리 소홀로 재발도 잦아 장기간 치료해도 효과가 낮아 골칫거리로 전락, 환자들의 불편과 고통을 초래한다. 그런데 최근 레이저를 활용한 손발톱무좀의 새로운 치료법이 등장했다. 
새로운 치료법은 1,064nm 파장 엔디야그(Nd:YAG) 레이저를 이용, 손발톱 무좀을 치료하는 것으로 병변 상태에 따라 강도를 조절하며 주위 정상피부 손상 없이 질환이 생긴 부위에 레이저를 쐬면 열이 깊숙이 침투해 무좀균을 파괴하게 되다.

시술 시간이 짧고, 치료 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고, 증상 호전 정도에 따라 강도를 달리하며 한 달 간격으로 3~5회 치료를 반복하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관련 병원의 설명. 또 엔디야그 레이저 치료로 인한 이상반응이나 심각한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고.


손발톱 무좀 치료에 레이저가 효과적인 이유는 무좀진균이 서식하고 있는 두꺼운 각질층과 손발톱 안쪽에 강한 열이 전달돼 열에 약한 무좀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때문이다. 또 열전달 효과에 의해 손발톱의 진균 성장을 억제하고, 감염된 손발톱이 빨리 자라도록 돕는다.

일반적으로 엔디야그 레이저는 기미, 주근깨 등 잡티와 오타모반 같은 색소질환 치료에 주로 쓰이는데, 손발톱무좀 치료에는 식약처에서 발톱진균증 개선으로 유일하게 허가된 엔디야그 계통의 핀포인테(PinPointe) 레이저를 활용한다. 이 레이저는 전 세계적으로 발톱무좀치료에 가장 먼저 개발됐다.

이러한 손발톱 무좀 레이저 치료법은 연세스타피부과가 대한피부과학회지(2013년)에‘발톱진균증에 대한 1,064nm Nd:YAG(엔디야그) 레이저 치료’제목으로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발톱의 변형과 변색이 나타난 환자(62세,여)를 대상으로 1,064 엔디야그 레이저를 1회 시술하고, 2개월 후 확인한 결과 발톱무좀이 개선되었으며, 6개월 후 육안 및 진균 검사 상에 완치 소견을 보였다. 이 환자는 레이저 치료 전 위장장애가 있어 먹는 약 처방을 원치 않았으며, 바르는 네일라카(amorolfine 5%)를 2개월간 사용하였으나 증상이 전혀 호전되지 않았었다.

연세스타피부과 이상주 원장(피부과 전문의)은 “기존 손발톱 무좀치료는 바르는 약을 최소 6~12개월 사용하거나, 향진균제를 새 발톱이 자랄 때까지 장기간 먹어야 해 간 손상,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이 우려됐다”며“새로 신의료기술에 등재된 손발톱 무좀 레이저 치료법이 먹거나 바르는 약으로 효과를 보지 못했던 환자들, 초기 무좀, 간질환이나 임신과 출산 등으로 약을 먹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시간과 비용, 인체 부담을 줄이면서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손발톱무좀을 해결하는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도움말, 이미지제공=연세스타피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