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길게는 17일부터 22일까지 이어지는 연휴로 예년에 비해 명절이 길게 느껴질 수 있다.
이에 17일 화요일 저녁부터 시작되는 귀성길 운전자들과 그리고 집에 도착해서 시작되는 여성들의 명절음식 마련과 손님 맞이로 인한 피로가 예상된다.
▶음식 준비 틈틈이 휴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이 지난 2009년 약 12만4000명에서 2013년 약 17만5000명으로 5년 동안 41%나 증가했다.
특이한 점은 여성 환자 비율이 남성 환자 비율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것인데, 성별 점유율을 보면 남성이 약 22%, 여성이 78%로 여성 진료인원이 4배 가까이 더 많았다. 연령별 점유율은 50대가 40%로 가장 많았고 40대, 60대 순이었다
주부들의 경우 부엌일을 오래하다 보면 허리와 등이 뻐근한 것은 물론이고 하지정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허리와 등이 뻐근한 것을 피하기 위해 10-15Cm의 발판을 이용해 발을 번갈아 하며 올려놓고 설거지를 하면 허리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 음식 장만을 위해 오랫 동안 앉아 설 음식을 하다 보면 무릎은 물론이고 어깨와 허리에도 부담이 가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팔을 등 뒤로 올려주거나 목을 앞뒤로 젖히는 등의 운동으로 목과 어깨를 풀어주는 게 좋으며 음식 마련 시 중간중간 휴식 시간을 가지면서 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 책상 다리를 하고 오래 앉아있을 경우엔 바로 일어나 무릎을 굽혔다 폈다하는 것이 오히려 무릎관절과 엉덩이(고관절)에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곧게 편 다음 양발목을 좌우로 가볍고 빠르게 흔들어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한 후 일어서는 것이 좋다.
▶장거리 운전시 2시간마다 휴식
설 연휴가 길수록 정체 시간이 비례하듯 설연휴가 길면 귀성길이 나뉘어져 차가 안 막힐 것 같지만 그것과는 상관없이 차는 연휴 전날 오후부터 정체가 시작되는 것이 기본이다.
이에 특히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들의 경우 운전 중 휴게소에 들렀을 때 허리를 숙여 손가락을 발끝에 대거나, 팔을 들어 귀에 붙이고 반대편으로 몸을 펴주는 옆구리운동, 무릎 굽혔다 펴기 등을 하면 좋다. 올바른 운전자세도 중요하다. 장거리 운전을 하기 전 평소의 운전자세를 확인하고 이번 기회에 바로 잡아야 운전 피로가 덜 쌓일 수 있다.
운전자와 동석자는 등받이를 너무 젖히지 말고 엉덩이와 등받이기 밀착하게 해 앉으며, 운전자의 경우 페달을 밟았을 때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핸들과의 거리는 핸들 양쪽을 잡고 한 손을 다른 손 위에 갖다 놓았을 때도 어깨가 등받이에서 떨어지지 않는 정도가 적당하다.
용인분당예스병원의 도현우원장은 “장시간 잘못 된 자세 혹은 한 자세를 유지하다 보면 퇴행성관절염과 관절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잘못된 자세를 피하고 정기적인 휴식시간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며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발받침대 사용과 음식 준비 및 이동 시 중간중간 휴식을 갖고 위와 비슷한 증상을 갖게 되면 연휴 이후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오랜 부엌일·장거리 운전…설날 연휴 건강관리 키워드는 '휴식'
강인귀 기자
3,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