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DB
/사진=머니투데이DB


포스코건설이 비자금 의혹으로 검찰의 집중 수사를 받으면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권 회장이 취임 2주년을 맞아 본격 추진 예정인 구조조정과 해외사업이 전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16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검찰은 지난 13일 포스코건설 현지법인이 1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본사와 임직원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또 성진지오텍(포스코플랜텍) 특혜 인수 의혹과 소재가공 계열사인 포스코P&S 탈세혐의에 대해서도 본격 수사에 나섰다.

검찰은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전방위 수사에 나서고 있지만 주요 핵심은 베트남 사업장에 조성한 100억원대 비자금이 어디로 흘러갔는지 여부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을 비롯해 전현직 임직원들에 대해 출국금지를 내린 상태다. 또 조만간 이들을 소환해 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이 이명박 정권시절 4배에 가까운 계열사를 늘린 점도 눈여겨보고 있다. 정 전 회장은 이명박 정부시절 낙하산으로 회장에 올라 여러 기업을 인수하면 계열사를 늘렸다. 2007년 당시 포스코의 자회사수는 20여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2년 70개를 넘어서는 등 외형을 키웠다.

검찰은 인수합병 과정에서 정 전 회장이 부실 인수 및 비자금을 조성한 것은 없는지 집중 수사할 계획이다.

검찰이 포스코를 상대로 집중 조사에 나서면서 권 회장의 경영도 당분간 올스톱 될 전망이다. 본격화할 구조조정을 미루고 해외사업도 삐걱거리는 모양새다.

포스코건설은 내달 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인 PIF로부터 1조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받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비자금과 관련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지분 가치가 낮아져 투자금액이 예상보다 줄어들 수 있다. 포스코건설 상장도 발목을 잡힐 수 있다. 그동안 포스코건설은 여러 차례 상장을 추진했지만 공모가격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상장을 보류한 바 있다.

또한 중국 충칭강철과 일관제철소 건설을 추진 중이고, 인도 최대의 국영제철회사 세일을 포함한 현지 기업과 광범위한 합작 사업을 구상 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