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문재인 김무성’ /사진=YTN 뉴스 캡처 |
지난 17일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3자 회동에서 화두는 ‘경제’였다.
문 대표의 맹공에 박 대통령은 조목조목 반박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 대표는 회동 시작부터 “경제 민주화와 복지공약은 파기됐다. 재벌과 수출대기업 중심의 낡은 성장 정책으로 중산층이 무너졌고 양극화가 극심해졌다”며 “총체적인 위기”임을 피력했다.
또 “경제사령탑 교체 없이 정책 기조를 바꾸겠다고 하는 것은 공감을 얻지 못하고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경제수장을 교체해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며 사실상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경질을 촉구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현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경제 민주화 관련 법안을 많이 입법시킨 정부”라며 “하도급업체와 납품업체, 가맹점주 등 경제적 약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제도 개선을 마무리했다”고 맞섰다.
이어 “야당이 주장하는 소득주도 성장은 현 정부가 추진하는 방향”이라며 “다만 추진 방법이 다르다”고 답했다.
최저임금 인상과 전월셋값 폭등 등에 대해서도 난타전이 벌어졌다.
문 대표는 최저임금 두자릿수 인상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생활임금(최저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의 확대를 촉구했고 박 대통령은 “생활임금을 법제화하기보다는 최저임금을 점진적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문 대표는 “전월셋값 폭등으로 서민들의 고통이 너무 크다”면서 “대선 때 보편적 주거복지 약속은 빈말이 됐다”고도 꼬집었다. 그러자 박 대통령은 “임대주택을 충분히 공급해서 시장을 안정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응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