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인정보 유출이 증가하면서 각종 스미싱 범죄가 증가했다. /자료사진=머니위크DB |
최근 스마트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각종 생활 및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앱의 이용자가 늘고 있다. 하지만 조사 결과 이용자 10명 중 최소 7명이 앱 이용 중 생성되는 위치, 결제내역, 건강상태 등의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빅 데이터 시대 소비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스마트폰 보유자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과 음식점 메뉴 추천앱, 그리고 스마트워치의 건강관리 앱의 개인정보 침해 우려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자신의 정보가 수집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앱’의 경우 81.7%, ‘음식점 추천 앱’ 78.1%, ‘건강관리 앱’은 75.5%의 응답자가 개인정보 수집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내역 정보가 무단으로 광고업체 등 다른 기업에 판매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소비자의 비율 역시 ‘음식점 추천 앱’에서는 73.3%, ‘건강관리 앱’ 71.2%, ‘내비게이션 앱’ 70.2%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앱 이용 과정에서 감시당할 위험을 우려하는 소비자의 비율은 ‘음식점 추천 앱’(58.5%)과 스마트워치의 ‘건강관리 앱’(58.1%)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내비게이션 앱’(53.1%)의 경우에도 감시 가능성을 인식하는 소비자가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아울러 스마트폰 앱 사업자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는 해킹에 대비한 ‘정보보안 시스템’ 부문이 55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어 ‘개인정보 관리’ 56점, ‘사생활 침해 악용’ 58점, ‘개인정보 보호정책 준수’ 부문이 60점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용내역정보 등 개인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업자는 사전에 그 사실을 소비자들에게 공개하도록 할 것을 관련부처에 요청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