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하고 안전한 식품이란 인식이 확산돼 일반 소비자들의 관심까지 높아져

식품업계 최대 화두인 ‘할랄(Halal)’은 이슬람 율법에 따라 만들어진 먹고 쓸 수 있는 제품을 뜻한다.

할랄 식품은 2012년 기준 1196조원 (1조 880억달러)규모로 세계 17%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다.

2018년엔 1788조원(1조 626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식품업계 블루오션이기도 하다.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최대 화두가 된 '할랄'

최근엔 인증 과정이 까다로운 할랄 식품 특성 상 소비자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식품이란 인식이 확산되면서 무슬림 이외에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어 할랄 식품 시장의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 식품업계 역시 할랄 식품 시장에 음식 한류를 일으킬 채비를 하고 있다.
대표적인 바른먹거리 기업 풀무원은 2013년 생라면 브랜드 ‘자연은 맛있다’로 ‘JAKIM(자킴)’의 인증을 받고 이슬람 식품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해 화제가 된 바 있다.


‘JAKIM’ 인증은 이슬람 국가의 할랄 허브(HUB)를 목표로 범 정부차원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발급하는 인증으로 국제 최고 권위의 할랄 인증 가운데 하나이다.

풀무원은 까다로운 ‘JAKIM’ 인증을 위해 제품의 원재료, 생산공장, 이슬람 현지 시장 반응까지 전 과정을 분석하고 계획해 국제 최고 권위의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풀무원은 합성첨가물 무첨가 원칙 등 식품제조원칙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풀무원은 제품에 들어가는 모든 원재료의 생산·운송·저장 등 생산의 전 과정에 돼지고기 DNA 검사를 실시했다.


또한 생산공장 주변도 철저하게 관리해 이슬람 율법에서 금한 개∙고양이 등의 접근을 철저히 방지해 교차 오염을 엄격히 차단하는 등 제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노력을 기울인 성과다.

풀무원은 앞으로 국내 판매 중인 ‘자연은 맛있다’ 시리즈와 ‘김,’ ‘바로조리 순살떡볶이’, ‘2분조리 국물 떡볶이’ 등의 간편식 제품의 할랄 인증 작업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며 올해는 단일 국가로서는 가장 큰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에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우유업계와 제과업체도 연이어 할랄 인증을 받고 무슬림 시장 본격 공략에 나서고 있다.

최근 서울우유와 빙그레는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 정식 수출업체로 등록되어 올 상반기에 처음 유제품을 수출할 예정이다.

빙그레의 경우 바나나맛 우유 3종과 메로나 4종 등 7종의 제품이 ‘JAKIM(자킴)’ 인증을 받았으며 이슬람 문화를 바탕으로 한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유 재고처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계로서는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돼 반가운 상황이기도 하다.

크라운제과는 2013년에 대표 스낵제품 4종(죠리퐁, 콘칲, 못말리는 신짱, 카라멜콘과 땅콩)에 대해 국내 제과업계 최초로 싱가폴의 Muis 할랄 인증을 획득하고 할랄 식품 시장에 진출해 있는 상황이다. 롯데제과의 꼬깔콘, 오리온 초코파이 역시 할랄 인증을 받았다.

SPC그룹은 2012년 바게트, 소보로빵 등 60여개 제품에 대한 할랄 인증을 받았으며 올해 말레이시아 등지에 처음 매장을 열 계획이다.

이외에도 최근 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들도 중동진출을 위한 할랄 인증을 획득, 직영 및 가맹매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