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201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무릎, 발목 관절 질환에 대한 20대 남성 진료비 증가율이 각각 10.9%, 1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남성의 경우도 스포츠 활동이 늘고, 즐겨 신는 신발 유형이 다양해져 발목과 무릎 등의 관절에 무리를 준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얼마 전 대학생 A씨(26세)는 발목을 접지르는 횟수가 점차 늘자 뒤늦게 병원을 찾았고, 진단 결과 ‘만성 발목 불안정성’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중이다.
A씨의 사례처럼 발목을 접지른 후 방치하게 되면 ‘만성 발목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다. 발목관절을 지탱하는 인대들이 발목을 접지르거나 정상적인 운동범위를 벗어난 경우 손상을 입게 돼 발목 염좌가 발생한다. 이러한 발목 염좌에 대해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불안정한 상태로 지속돼 인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는 것. 이는 만성적인 발목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발목 염좌가 반복 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진료가 중요하다.
![]() |
만성 발목 불안정성으로 진행될 경우 시큰거리는 발목 통증과 함께 습관적인 발목 염좌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목을 돌릴 때 일정한 방향으로 뻐근한 느낌이 들거나 복숭아 뼈 부위가 붓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의 치료법으로는 먼저 통증이 심하지 않을 경우 발목의 외측 인대 강화 운동 등으로 발목 염좌의 재발을 방지한다. 지속적인 통증과 발목 염좌가 있을 경우 깁스 등을 통한 고정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치료 후에도 발목 염좌등의 자주 재발 될 경우에는 발과 발목을 잘 잡아주는 신발을 신는 것도 도움 될 수 있다.
전태환원장은 “발목 염좌나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앓는 환자들은 보통 찜질이나 마사지 정도로 치료가 됐다고 여겨 더 이상의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질환을 방치해 인대가 느슨한 위치에서 아문 상태로 다시 손상을 받게 된다면 발목관절의 연골까지 손상을 입어 관절염 등을 유발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