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연평해전 13주기를 맞은 지난 29일 경기도 평택시 해군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13주기 기념식'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정호섭 해군참모총장이 유가족들과 함께 기념식장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제2연평해전 13주기를 맞은 지난 29일 경기도 평택시 해군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13주기 기념식'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정호섭 해군참모총장이 유가족들과 함께 기념식장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문재인 연평해전'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지난 29일 "어제 당 최고위원들과 함께 '연평해전' 영화를 봤다"며 "조금 늦었지만 제2연평해전의 영웅들을 우리가 다시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져서 아주 다행스럽다고 생각했다. 우리 영토와 영해가 그냥 지켜지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많은 장병들의 숭고한 목숨과 피, 그 희생으로 지켜진 것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인식하게 됐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오늘(29일)은 제2연평해전 13주년이 되는 날"이라며 "제2연평해전은 북한의 도발을 온몸으로 막고 NLL을 지켜낸 값진 승리의 해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노무현 정부 때는 북으로부터 NLL을 공격받은 적이 아예 한 번도 없었다"며 "임기 내내 NLL은 물론 휴전선 전역에서 북한과 단 한 건의 군사적 충돌도 발생하지 않았다. 우리 국민 단 한 사람도 억울하게 희생시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천안함 폭침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NLL이 뚫리고 많은 장병과 국민을 희생시킨 건 이명박정부였다.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라며 "안보 대처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명박정권은 대통령부터 시작해서 안보를 책임져야 할 안보대책회의의 주요 구성원 대부분이 군 복무를 하지 않았을 정도로 병역미필 정권"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 삶을 걱정하고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데에서 유능한 안보는 시작된다"며 "방산비리로 안보를 내부에서부터 무너뜨리고 세월호 참사에 이어 메르스 확산에서 보듯 국가 위기관리에 허술하기 짝이 없는 정부에게 안보를 맡길 수 없다. 그저 북한을 적대시하고 대결적인 자세를 취한다고 안보를 잘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