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연평해전 13주기를 맞은 지난 29일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경기도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퇴장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
'유승민 사퇴요구' '유승민 발언'
친박(박근혜)계 의원들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고 있는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을 삼간 채 통상 업무를 이어갔다.
유 원내대표는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제2연평해전과 관련해 최소한 두가지 할 일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하나는 지금 국가보훈처에서 3월26일 천안함 폭침, 6월29일 제2연평해전, 11월 3일 연평도 포격사건, 이 세가지를 합쳐서 행사를 통합하는 것을 내년부터 하도록 추진을 해왔지만 유가족들 뜻도 그렇고 앞으로 행사를 조촐하게 하더라도 통합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그래서 정부에 이 세가지 행사를 통합하지 않고 각각 그 기념일에 그대로 행사를 진행하도록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또 한가지는 제2연평해전의 전사자들에 대한 예우가 전사자에 대한 예우가 아니라 순직에 해당하는 예우를 해왔다"며 "이것이 관련 법령의 문제 때문에 이런 일이 있었지만 잘 아시는 대로 제2연평해전에서 적의 기습공격에 맞서 정말 치열한 교전을 하다가 조국을 위해서 목숨을 바친 이 용사들에게 전사가 아닌 순직에 해당하는 보상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것은 관련 법령을 정비해서 소급적용하는 한이 있더라도 전사에 대한 합당한 예우가 반드시 이뤄지도록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