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대한항공
/자료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조종사 퇴사자가 최근 들어 급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항공수요가 급증하는 중국에 고액연봉으로 스카우트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항공·아시아나와 5개 국적 저비용항공사 전체 수치로 보면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는 2013년 111명, 2014년 155명, 올해 1∼7월 138명으로 급증하고 있다.
대한항공의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는 2013년 26명에서 2014년 27명, 올해 1∼7월 42명으로 늘었고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올해 조종사 105명을 신규채용 하며 작년보다 총원을 소폭 늘렸다. 대한항공도 신규여객기 도입에 따라 조종사 추가 수요가 있던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가 2013년 24명, 2014년 31명, 올해 1∼7월 29명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항공의 내국인 조종사 근속연수는 16년, 아시아나항공은 14.1년이다.


퇴사한 한국인 조종사들은 국내에서 자리를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고액연봉을 제시하는 중국행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 경력 15년 기장의 평균 연봉 실수령액은 1억5000만원 안팎이 되지만 중국 항공사들은 연봉 2억∼3억원 이상, 최근에는 4억원대를 부르는 항공사까지 나타났다.

현재 저비용항공사(LCC)를 포함한 국내 7개 항공사의 조종사 총원은 한국인 4631명, 외국인 543명이다.


한편 조종사들의 월평균 비행 근무시간을 보면 제주항공이 72시간2분으로 압도적으로 길고 장거리 노선이 많은 대한항공이 63시간54분으로 2위다.

에어부산은 62시간59분, 아시아나 58시간, 티웨이 57시간40분, 이스타 56시간28분, 진에어 50시간54분 순이다.

김상희 의원은 "숙련된 조종사 한 명을 양성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과 재원이 투입되는 만큼 국외로 인력유출이 더 심화하지 않도록 조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